Sunday, April 28, 2024

계급(階級)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계급(階級)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계급 (階級)

경제적, 사회 문화적 자산 및 생산 수단의 소유 여부 등 삶의 물적 조건상의 불평등에 기초한 사회적 관계에서의 대립적 지위.
접기/펼치기내용 요약음성 재생


계급은 경제적, 사회 문화적 자산 및 생산 수단의 소유 여부 등 삶의 물적 조건상의 불평등에 기초한 사회적 관계에서의 대립적 지위이다. 계급을 경제적 자본의 관점에서 정의한 칼 마르크스와 막스 베버 등의 고전 이론과 함께, 문화 자본 등 불균등하게 배분된 권력 자원의 다차원성에 주목한 부르디외의 계급 개념이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외적으로 계급 구조와 의식, 계급 형성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세계화와 불평등의 심화로 인해 계급 내 분화와 그 함의에 대한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키워드경제적 착취
삶의 기회
문화 자본
양극화
접기/펼치기목차
정의
계급 개념의 다양성
비(非)경제적 문화 자본과 계급
한국 사회의 계급 연구와 중간 계급의 문제
전 지구적 자본주의와 계급의 분화: 새로운 양극화?
참고문헌
접기/펼치기정의
경제적, 사회 문화적 자산 및 생산 수단의 소유 여부 등 삶의 물적 조건상의 불평등에 기초한 사회적 관계에서의 대립적 지위.

접기/펼치기참고문헌

원전
Weber, Max, 『Economy and Society: An Outline of Interpretive Sociology』 Vol. 1(New York: Bedminster Press, 1968)
Marx, Karl and Frederick Engels, 『The Communist Manifesto』(New York: International Publishers Co., [1848] 2014)
단행본
서관모, 『현대 한국사회의 계급구성과 계급분화』(서울 : 한울, 1984)
한상진, 『중민 이론의 탐색』(서울 : 문학과 지성사, 1991)
정진상·임영일·조효래·이진동·김영수·김재훈, 『한국 노동계급의 형성: 1987-2003』(파주 : 한울, 2006)
조돈문, 『노동계급 형성과 민주노조운동의 사회학』(서울 : 후마니타스, 2011)
Wright, Erik Olin, Classes.(London: Verso, 1985)더보기
접기/펼치기주석
주1

사회나 일정한 조직 내에서의 지위, 관직 따위의 단계. 우리말샘주2

국가를 스스로 결정하는 힘을 지닌 실체로 보는 이론. 정책 과정에서 이익 집단들이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정부나 국가는 대립되는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수동적인 역할만을 수행한다는 다원론의 주장과 대비된다. 우리말샘주3

막스 베버, 독일의 사회학자ㆍ경제학자(1864~1920). 사회 과학의 방법론을 전개하였다. 저서에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의 정신≫, ≪직업으로서의 정치≫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주4

‘제2의 본성’과 같은 것으로, 친숙한 사회 집단의 습속ㆍ습성 따위를 뜻하는 말. 프랑스의 사회학자 부르디외가 규정한 용어이다. ⇒규범 표기는 미확정이다. 우리말샘주5

근로자와 사용자 사이에 노무 제공과 임금 지급을 약속하는 계약. 우리말샘
접기/펼치기관련 항목
신분 사회구조 개념 법적 지위나 사회적 통념에 따른 개인의 지위나 자격을 가리키는 사회학용어.
양극화 현상 사회구조 개념 소득, 자산 등 경제적 불평등이 심화되어, 중산층의 지위를 유지하거나 하위 계급이 중산층으로 계급 지위를 상승시킬 수 없게 되며, 빈곤층이 증가하게 되는 사회현상.
노동자 사회구조 개념 자신의 노동력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받은 임금으로 살아가는 직업인. 근로자 · 피용자 · 피고용인.
자본가 사회구조 개념 자신의 자본금으로 영리활동을 수행하는 경영자. 기업가 · 경영자 · 사용자 · 고용주 · 부르주아.
접기/펼치기집필자
이주희(이화여자대학교 교수)

No comments:

Post a Comment

손민석 - 일본 학자들의 마르크스 문헌 재해석

(2) 손민석 - 일본 학자들이 마르크스 문헌 재해석하는 걸 보면 자기네들의 경험에 기초해서 어쨌거나 꾸준히 해석을 내놓는다는... | Facebook 손민석   ·  일본 학자들이 마르크스 문헌 재해석하는 걸 보면 자기네들의 경험에 기초해서 어쨌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