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March 12, 2022

대한민국의 진보정당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의 진보정당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의 진보정당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 진보세력의 흐름

대한민국의 진보정당은 현재 대한민국에서 사회주의 혹은 공산주의동물권 옹호여성주의생태주의 등을 표방한 정당을 주로 지칭한다.

역사[편집]

공산주의와 사민주의의 경쟁시대[편집]

조선공산당은 주요 목표가 공산주의이기도 했지만 구성원은 중도좌파에서 극좌까지 세심하게 분류되어 있었다. 해방 후 조선공산당은 남조선노동당사회당 등등 여러 계열로 나뉘게 된다. 조봉암의 진보당은 역사적 기반의 경우는 조선공산당에 뿌리를 두었지만, 사회민주주의를 표방하는 중도좌익의 진보정당이었다. 또한 재야 진보 정치인들도 진보 정치의 주류 인사로 분류된다. 대한민국 내에 존재하는 진보정당은 1950년대 후반에 걸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조선 로동당과 똑같은 좌익세력으로 분류되어 대부분 대한민국 정부에 의해 숙청되었고, 약 30년 간의 공백기를 가졌다. 1980년대부터 학생 운동권의 주축을 이루어 온 민족 해방(NL)과 민중 민주(PD) 계열이 새로이 진보정당의 주류 세력으로 자리매김했다.

민주정부 출범과 국민참여의 시대[편집]

1987년 6월 항쟁 이후 진보세력의 독자적 정치세력화 구상은 1987년 대선에서 백기완을 후보로 출마시키는 계획으로 구체화됐다.[1] 이후 백기완선거대책본부를 중심으로 민중의당이 창립됐고, 민주노총이 합법화된 이후에는 민주노총의 주도로 건설국민승리21이 1997년 창당했다. 국민승리21은 2000년 민주노동당으로 재창당했다.

한편, PD계열의 일부 세력은 국민승리21 창당 이후인 1998년 사회당을 창당했다. 민주노동당 창당 이후 양 세력은 통합을 논의했지만, 2001년 원용수 당시 사회당 대표는 "민중의 요구보다 조선노동당의 외교정책을 우위에 놓는 종북 세력과는 함께 당(활동)을 할 수 없습니다"며, 거부 의사를 밝혔다.[2]

진보진영과 민중세력의 세분화 시대[편집]

민주노동당은 2004년 총선에서 10명을 당선시키는 파란을 일으켰으나, 당내 양대 세력인 NL과 PD의 이념 차이, 다수파인 NL의 패권주의 등의 문제를 결국 극복하지 못했다. 2008년 당내 PD 세력인 조승수노회찬심상정 등은 진보신당을 창당했다. 이후 민주노동당은 야권연대 전략을 통해 2010년 지방선거에서 기초단체장 3명을 배출하는 등 성과를 냈으나, 독자전략을 고수했던 진보신당은 상대적으로 적은 성과를 내는데 그쳤다.

2011년 초부터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은 진보대통합 논의를 시작했다. 하지만 애초 분당의 원인이었던 이념 차이, 패권주의 문제가 명확히 해소되지 않은데 이어, 친노무현 계열의 국민참여당의 진보대통합 참여를 둘러싼 이견 때문에 진보대통합은 결렬됐다. 이후 진보정당 운동은 민주노동당, 국민참여당, 진보신당 탈당파가 합당한 통합진보당과 사회당과 합친 진보신당의 두 갈래로 이어져갔다. 넓은 의미에서 녹색당까지 진보정당으로 포함하기도 한다.[3][4]

2012년 총선에서 통합진보당은 13명을 당선시킨데 반해 진보신당은 원내 진출에 실패한다. 하지만 통합진보당은 총선 이후 비례대표 경선 과정에서 불거진 논란으로 경기동부연합울산연합 등 NL 다수파(구주류)와 인천연합 등 NL 소수파, 국민참여당 계열, 진보신당 탈당파(혁신파)로 분당했다. 분당파는 진보정의당을 창당했다. 2012년 총선 이후 등록취소된 진보신당은 '진보좌파정당' 건설을 목표로 재창당을 했다. 2012년 대선에서 통합진보당은 이정희, 진보정의당은 심상정을 대선후보로 선출했지만 둘 모두 중도사퇴했다. 진보신당은 대선후보를 내지 않고 김소연 무소속 후보를 지원했지만, 진보신당 일부 세력은 김순자 무소속 후보를 지지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