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day, November 19, 2023

혁명가 레닌은 왜 러시아 자본주의를 발전시키려 했을까? : 레닌의 러시아 사회구조 분석 5부(완결)

혁명가 레닌은 왜 러시아 자본주의를 발전시키려 했을까? : 레닌의 러시아 사회구조 분석 5부(완결)

혁명가 레닌은 왜 러시아 자본주의를 발전시키려
했을까? : 레닌의 러시아 사회구조 분석 5부(완결)


제정러시아의 마지막 황제 니콜라이 2세의 대관식 : 이 대관식 행사에서 많은 이들이 압사사고로 사망했다
이 글은 레닌의 러시아 자본주의 분석의 마지막 부분입니다. 앞의 1~4부를 읽
고 읽으면 더욱더 풍부하게 러시아 자본주의에 대한 레닌의 분석을 이해할 수 있
겠지만, 그렇지 않아도 상관없습니다. 이 글만 읽으셔도 앞으로의 논의를 이해하
는데 충분하리라 생각합니다. 그런 식으로 구성을 해두었습니다. 구독자 여러분
들께서는 어떠한 부담 없이 이 마지막 결론 부분만 읽으셔도 충분히 논의를 따라
오실 수 있으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2022.07.22. 오후 6:30
손민석
======
혁명 읽는 사람 로그인

이 글은 앞서의 경제사 연구와 '시장이론'을 통해 러시아 자본주의의 구조를 파
악한 것을 전제로 전체 구조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왜 인민
주의자들이 쁘띠 부르주아의 사상가들인지가 러시아 자본주의의 총체성 속에
서 해석되게 됩니다. 이들 인민주의자들이 지지하는 '농민'이 러시아 자본주의
내에서 어느 위치에 놓여 있는가를 파악함으로써 그들의 사상의 성격이 밝혀집
니다.
또한 레닌이 생각하는 러시아 차리즘 체제의 국가성격도 다룹니다. 왜 러시아
의 차리즘 체제가 절대주의인지를 레닌의 입장에서 독해하여 우리가 앞에서 다
루었던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러시아관에서 나온 "가부장적 봉건 절대주의"와 어
떤 식으로 비교할 수 있는지를 살펴봅니다.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러시아관과 베
른슈타인의 수정주의는 각각 레닌의 인민주의 비판과 경제주의 비판하고 짝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좀더 복합적으로 읽어보고 싶으신 분들은 앞의 두 연재분과
레닌연재분을 비교하면서 읽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결국 이 글이 말하고자 하는 바도 근대국가가 이끄는 민족공동체 내부로 포섭되
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그 강력한 자장속에 우리는 너무나도 쉽게 포섭되어
흡수되어버립니다. 세상에 존재하는 그 무수히 많은 진보적인 이론들의 날카로
운 자본주의 분석이 무뎌지게 된 데는 바로 이 민족공동체로의 포섭, 민족주의
내셔널리즘의 강력한 자장 때문입니다. 레닌은 평생에 걸쳐서 그 내셔널리즘과
근대국가에 맞서 싸웠습니다. 그렇기에 그의 '최후의' 적은 언제나 쁘띠 부르주
아지들이었습니다. 레닌이 러시아 혁명의 역사상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낸 것이
쁘띠 부르주아지들인 인민주의자들과의 투쟁이었다는 사실은 많은 것을 보여줍
니다.
이 글을 쓰면서 제 머릿속에는 항상 19세기의 러시아와의 비교군으로 21세기
의 한국이 놓여 있었습니다. 선진 자본주의 단계에 접어들고 있는 21세기의 한
국과 이제 막 자본주의화 되고 있는 19세기의 러시아제국 사이에 어떤 공통점
이 있다는 말인가, 의아스럽게 여기실 수도 있겠지만 러시아가 농민의 나라이듯
이 한국 또한 본질에 있어서는 "여전히" 농민의 나라라 생각합니다. 쁘띠 부르주
아적인 세계관이 여전히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어쩌면 전제국가 체제를 유지

한동안 이런저런 핑계로 미루다가 이제야 1~5부 몰아서 읽었더니 머리가 복잡복잡하네요ㅎㅎ
마지막 3-2 파트를 보면서, 조금 뜬금없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겠으나, 노동법은 진정 노동자를 위한
법이 맞나, 오히려 법을 더 잘 지킬수록 부르주아적 질서는 더 견고해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예전부터
의 생각이 다시 떠오르게 되었습니다.
한편, 한국은 여전히 농민의 나라라는 대목에서 자영업자 비율이나 코로나 손실보상금, 노동자 간 임금격차 등이 떠오르기는 한데 조금 모호한 느낌도 없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



다음 글이 아주 기대됩니다!
#레닌 #러시아자본주의 #차리즘 #절대주의 #러시아제국 #제정러시아 #인민주의
#나로드니키 #자본주의 #경제사
한 아시아적 사회들은 모두 그럴지도 모르겠습니다. 저는 그런 점에서 레닌의 글
에 감정적으로 많이 동조합니다. 19세기 러시아의 사회구조에 대한 레닌의 분
석 속에서 한국을 발견하실 수 있다면, 글을 쓴 제게는 더할 나위 없는 큰 기쁨
이 될 것 같습니다.


많은 구독과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프리미엄 구독자 전용 콘텐츠입니다.
혁명 읽는 사람 구독으로 더 많은 콘텐츠를 만나보세요

No comments:

Post a Comment

손민석 - 일본 학자들의 마르크스 문헌 재해석

(2) 손민석 - 일본 학자들이 마르크스 문헌 재해석하는 걸 보면 자기네들의 경험에 기초해서 어쨌거나 꾸준히 해석을 내놓는다는... | Facebook 손민석   ·  일본 학자들이 마르크스 문헌 재해석하는 걸 보면 자기네들의 경험에 기초해서 어쨌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