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esday, March 29, 2022

중국 후지식청년시대 공공지식인의 등장 – 다른백년

중국 후지식청년시대 공공지식인의 등장 – 다른백년



기획칼럼
김유익의 [중국 신향촌건설]
중국 후지식청년시대 공공지식인의 등장

서평: 광저우 책갈피(3)김유익 2021.07.01 0 COMMENTS


블링컨이 양제츠를 바라보며 전세계에 선언했다. “차이나는 세계평화를 위협하는 악당이야.” 그런 속보이는 연기가 아니라, 진솔하게 덩치 큰 오랜 이웃에게 묻고 싶다. 새로운 ‘중화문명’은 어떻게 홍콩과 신장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는가 ? 한·중 양국 간에 중화주의를 넘어선 공정한 관계 맺기가 가능할까?방법으로서의 자기 – 샹뱌오와의 대화

한때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학자들이 진지하게 대화를 나누던 ‘공공지식인’이라 불리던 일군의 학자들이 중국에 있었다. 그들 대부분은 젊은 시절 하방을 경험한 ‘지식청년세대’로 불린다. 시진핑도 이들 세대에 속한다. 대표격인 신좌파 지식인 왕후이汪暉는 “중국사회주의와 근대성 문제”를 한국의 창비에서 중국보다 2년 먼저 발표했다. 굴기한 대국의 자의식이 커지는만큼 옛 친구들에 대한 관심은 줄어든 탓인지, 아니면 자국내 검열의 강화탓인지, 지식인들의 왕래가 드물어졌다. 우선 중국내 목소리가 작아진 것을 보면 후자의 이유가 더 큰 것 같다. 이제 대화의 상대가 사라진 것일까?

중국의 스타문화인 쉬즐유엔이 후지식청년세대를 대표할 새로운 공공지식인으로 샹뱌오를 불러냈다. 2019년 자신이 진행하는 인터뷰 프로그램 ‘13야오十三邀’에 초청한 것이 우선 세간의 화제가 됐다. 동시에 기획된 대담집이 작년에 출간된 <방법으로서의 자기>이다.

“13야오 샹뱌오 인터뷰 동영상”

https://v.qq.com/x/cover/mzc00200c5sxk4p/o3026pze76s.html

제목으로부터 아시아의 근대성을 선구적으로 규명하고자 노력했던 일본의 루쉰연구자 다케우치 요시미의 <방법으로서의 아시아>에서 시작하는 일련의 책들이 떠오른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이 책은 매우 평이한 언어로 기술돼 있다. 학부 2학년부터 6년간 작성한 민족지를 기초로한 석사논문 <경계를 넘나드는 커뮤니티 – 베이징‘저쟝촌’의 생활사>가 단박에 중국인문학의 고전이 돼, 베이징 대학의 천재로 불리던 현 옥스포드대학 인류학과 교수 샹뱌오는 대중과 소통할 때 난해한 현대 서구이론을 직접 사용하는 것을 꺼린다.

이 책을 관통하는 단 하나의 키워드라 할 수 있는 ‘향신鄉紳‘의 관점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외부에서 주어진 교조적 논리가 아니라 자기의 부근에 존재하는 문제에 개입해, 생활의 맛이 우러나는 언어로 독립적인 서사를 만든다. 그로부터 출발해 세계에 대한 비젼을 그려낸다. 글로 쓰는 대신 대담 방식을 사용한 것도, 이렇게 명료해진 개념만이 자신의 목소리가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샹뱌오의 석사논문이 유명해진 것은 관점의 전환때문만은 아니다. 샹뱌오가 6년간 단순한 관찰자가 아니라 직접 개입하며, 세심히 기록하고 분석한 것은, 철옹성처럼 보이는 중국의 국가 시스템의 구멍을 비집고, 중국의 유동하는 ‘민간’이 만들어낸 역동성있는 소사회였기 때문이다. ‘민간의 자치와 결집‘이라는 근사한 명제만으로는 담기 부족한 날것의 생명력이 느껴지는데다, 전통적 인간관계에서 진화한 것이라는 ‘희망’이 보인다. 하지만, 몇년전 출간된 개정증보판에 추가된 서문에는 중국 사회의 규범화, 제도화가 이미 근대적 위생의 관념으로 이 미생물적 사회를 정리해버렸다는 암울한 보고가 추가돼 있다. 이것은 국가와 자본의 동학의 결과이지만, 목적론적으로 해석하기 보다는 근대화의 귀결로 보는 것이 더 공정할듯 하다. 전가의 보도처럼 신자유주의나 전체주의의 유령을 소환할 때마다, 모든 서사의 디테일이 사라지고, 비극적 허무주의 아니면 공허한 혁명의 구호만이 남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 대담집 어찌보면 산만해 보이는데다 구멍이 뻥뚫려 있다. 80년대 중국 전역은 개혁개방의 ‘문화열’로 온 나라가 들떠있었다. 80년대 후반 자신의 고등학교 시절을 그렇게 술회하는 그의 대학생활은 92년 시작되는 캠퍼스 생활에 앞선 일년간의 병영 군사훈련으로 이어지는데, 중간에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홍콩문제도 입질이 오기에 낚싯대를 당기니 빈바늘만 딸려온다. 책에 인용된 과거의 글들을 인터넷 검색으로 찾아보고 나서야 무릎을 쳤다. ‘Occupy Central 센트럴 점령’당시 홍콩을 근거리에서 관찰하던 그는 중국내의 음모론적 관점을 비판하고, 천안문사태의 후과가 홍콩사태의 한 원인이 됐음을 밝히는 동시에, 두 체제의 복잡하고 모순적인 중층적 역사를 근거로, 홍콩시민들의 급진적 요구도 자제를 당부한다.

“홍콩 대중운동의 민주화 요구와 정당정치”

http://platformc.kr/2019/09/%ed%99%8d%ec%bd%a9-%eb%8c%80%ec%a4%91%ec%9a%b4%eb%8f%99%ec%9d%98-%eb%af%bc%ec%a3%bc%ed%99%94-%ec%9a%94%ea%b5%ac%ec%99%80-%ec%a0%95%eb%8b%b9%ec%a0%95%ec%b9%98/

비록 그의 소망은 이뤄지지 않았지만, 자신의 연구대상인 동시에 스스로 유동하는 경계인인 그의 자리가 지금은 꽉 막혀버린 중국의 안팎을 연결할 가능성을 여전히 열어둔다. 정치경제학과 문사철에 기반한 하나의 대서사에 익숙하던 선배들과 달리, 인류학자인 그는 생활속의 수많은 작은 문제를 정확히 인식하고 묘사하는 것에서 출발할 것을 제안하다. 우리에게도 익숙한 탈출구 없는 초경쟁사회가 된 중국에서, 그는 개인과 국가만 존재하는 가운데 중간이 되는 사회 ‘부근’이 사라진 것을 가장 심각한 문제로 인식한다. 이것을 우리 식으로 풀자면 곁이 되어주는 사람들이 있는 마을공동체이고, 조선의 선비에 해당하는 향신은 마을의 어른이다. 동아시아 인류학자들의 관점이 모이는 지점에서 다시 대화가 재개될 것이다.



*이 글의 축약본이 경향신문에 게재되어 있습니다. 경향신문의 허락을 얻어, 다른백년에도 옮깁니다.



김유익

FEATURED
김유익
방법으로서의 자기
샹뱌오와의 대화

글 탐색
PREVIOUSPREVIOUS POST:

중국과 러시아의 위험한 결탁 – 미국의 시각

NEXTNEXT POST:

[28] 가뭄은 팬데믹 이후 다가올 또하나의 잠재적 재앙이다

김유익


和&同 青春草堂대표. 부지런히 쏘다니며 주로 다른 언어, 문화, 생활방식을 가진 이들을 짝지어주는 중매쟁이 역할을 하며 살고 있는 아저씨. 중국 광저우의 도시와 농촌이 공존하는 오래된 마을에 거주하고 있는데 젊은이들이 함께 공부, 노동, 놀이를 통해서 어울릴 수 있는 작은 공간을 만들어 나가고 싶어한다. 여생의 모토는 “시시한일을 즐겁게 오래하며 살자.”
===

김유익의 광저우 책갈피
탈출구 없는 초경쟁사회가 된 중국…사라진 공동체·멘토를 불러내다
김유익 재중문화교류활동가
입력 : 2021.04.30

경계인이 본 중국의 민주화


샹뱌오
<방법으로서의 자기 - 샹뱌오와의 대화>

블링컨이 양제츠를 바라보며 엄숙하게 선언했다. “차이나는 세계 평화를 위협하는 악당이야.” 그런 속보이는 연기 대신 진솔하게 덩치 큰 오랜 이웃에게 묻고 싶다. 새로운 ‘중화문명’은 어떻게 홍콩과 신장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는가? 한·중 양국 간에 중화주의를 넘어선 공정한 관계 맺기가 가능할까?



한때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학자들이 진지하게 대화를 나누던 ‘공공지식인’이라 불린 학자들이 중국에 있었다. 그들 대부분은 젊은 시절 하방을 경험한 ‘지식청년세대’로 불린다. 대표 격인 신좌파 지식인 왕후이는 <중국사회주의와 근대성 문제>를 창비에서 중국보다 2년 먼저 발표했다. 대국의 자의식이 커진 탓인지, 아니면 검열 강화 탓인지 소식이 뜸해졌다. 이제 대화 상대가 사라진 것일까?


중국의 스타문화인 쉬즐유엔이 후지식청년세대를 대표할 새로운 공공지식인으로 샹뱌오를 불러냈다. 2019년 자신의 인터뷰 프로그램 <13야오>에 초청한 것이 화제였다. 동시에 기획한 대담집이 작년에 출간된 <방법으로서의 자기>다.


일본의 루쉰 연구자 다케우치 요시미의 <방법으로서의 아시아>에서 시작하는 일련의 책들을 연상할 것이다. 그가 학부 2학년부터 6년간 작성한 베이징대 석사 논문 <베이징 ‘저장촌’의 생활사>는 중국 인문학의 고전이 됐다. 지금은 옥스퍼드에 있는 샹뱌오는 대중과 소통할 때 난해한 현대 서구 이론을 사용하는 것을 꺼린다. 이 책을 관통하는 단 하나의 키워드라 할 향신(鄕紳)의 관점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자기 부근 문제에 대해 외부에서 주어진 논리가 아니라 생활의 맛이 우러나는 언어로 독립적인 서사를 만든다. 그로부터 출발해 세계에 대한 비전을 그려낸다.


그런데 대담집은 어찌 보면 산만한 데다 구멍이 뻥 뚫려 있다. 1980년대 중국은 개혁·개방의 ‘문화열’로 들떠 있었다. 1980년대 후반 고등학교 시절의 훈훈한 술회로부터 건너온 그의 대학 생활은 1991년 캠퍼스의 서늘한 분위기로 이어지는데, 중간에 대체 무슨 일이 벌어진 걸까? 홍콩 문제도 입질이 오기에 낚싯대를 당기니 빈 바늘만 달려 나온다. 인용된 과거 글들을 인터넷 검색으로 찾아보고 나서야 무릎을 쳤다. 2014년 센트럴 점령 당시 홍콩을 근거리에서 관찰했던 그는 중국 내 음모론적 관점을 비판하고, 톈안먼 사태의 후과가 홍콩 사태의 한 원인이 됐음을 밝히는 동시에, 두 체제의 복잡하고 모순적인 중층적 구조를 근거로, 홍콩 시민들의 급진적 요구도 자제를 당부한다.




비록 그의 바람은 꺾였지만, 유동하는 경계인인 그의 자리가 꽉 막혀버린 중국 안팎의 지식계를 연결할 가능성을 열어둔다. 거대 서사에 익숙하던 선배들과 달리, 인류학자인 그는 생활 속 작은 문제를 정확히 인식하고 묘사하는 것에 더 관심이 많다. 탈출구 없는 초경쟁 사회가 된 중국에서, 그는 개인과 국가, 대자본만 존재하고, 중간이 되는 사회, 즉 ‘부근’이 사라진 것을 심각한 문제로 인식한다. 우리식으로 풀자면 곁이 되어주는 사람들이 있는 마을공동체이고, 조선의 선비에 해당하는 향신은 마을의 어른이다. 동아시아 인류학자들의 관점이 모이는 곳에서 대화가 다시 시작된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

손민석 - 일본 학자들의 마르크스 문헌 재해석

(2) 손민석 - 일본 학자들이 마르크스 문헌 재해석하는 걸 보면 자기네들의 경험에 기초해서 어쨌거나 꾸준히 해석을 내놓는다는... | Facebook 손민석   ·  일본 학자들이 마르크스 문헌 재해석하는 걸 보면 자기네들의 경험에 기초해서 어쨌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