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day, May 5, 2024

The Choice of Civil War: Neoliberal Strategy and the Politics of the Enemy : Dardot, Pierre, Guéguen, Haud, Laval, Christian, Sauvêtre, Pierre: Amazon.com.be: Livres

The Choice of Civil War: Neoliberal Strategy and the Politics of the Enemy : Dardot, Pierre, Guéguen, Haud, Laval, Christian, Sauvêtre, Pierre: Amazon.com.be: Livres

The Choice of Civil War: Neoliberal Strategy and the Politics of the Enemy Broché – 1 février 2025
English edition  by Pierre Dardot (Author), Haud Guéguen (Author), Christian Laval (Author), & 1 more
View all formats and editions
Why do neoliberal policies continue to be implemented and supported by electoral majorities, despite their obvious economic failures and the ever-increasing tensions they produce in society?

To understand this, we need to reread the history of neoliberalism less from the point of view of its economic recipes than of the construction of its political strategy to achieve power.

From Hayek to Thatcher and Pinochet, from Mises to Trump and Bolsonaro, and from Lippmann to Macron, neoliberals have drawn on ideology, constitutional economics, labor discipline, cultural wars as well as police and military force to prevent popular resistance from organizing. And whatever their doctrinal differences, they all see the state's tight control of democracy as the most effective means of defeating egalitarian alternatives.

Margaret Thatcher's "There is no alternative" was not a historical statement, but the strategic objective of neoliberalism. Neoliberalism can therefore persevere today by its ability to defeat its opponents while deepening social and cultural regression.
Read less
   Report a problem with this product
Number of pages of the printed edition 
288 pages
Language
English
Editor
Verso Books
Publication date
February 1, 2025
Next page
Product Description
Newspaper
Dardot et al. now paint neoliberalism as a form of political and economic warfare, claiming that what has widely been perceived as the gradual emergence of a new governmental rationality, a capillary production of economic
subjects, or a transformation in the structures of economic life, is first and foremost to be understood as a kind of civil war, a frequently one-sided class struggle that has recently taken particularly virulent forms across the globe,
from the Trump ascendancy to the juridical coup against the Partido dos Trabalhadores that brought Jair Bolsonaro to power in Brazil, from the securitarian onslaught against the gilets jaunes in France to the consolidation
of authoritarian and exceptional forms of rule in the heartlands as well as the intermundia of global capitalism. Far from constituting a bloodless technocratic rationality, neoliberalism now appears as a fundamentally political form, one that is always strategically oriented against socialism, trade unionism and the welfare state. -- Alberto Toscano ― New Left Review

The New Way of the World is the best modern realization of Foucault's pioneering approach to the history of neoliberalism. It wonderfully explores the European roots and branches of the neoliberal thought collective over the twentieth century, and warns that unthinking misrepresentations of its political project as espousing 'laissez-faire' has had the effect of allowing the Left to submit to its siren song. -- Philip Mirowski (praise for The New Way of the World)

To understand these debates on neoliberalism, the book by Christian Laval and Pierre Dardot on the 'neoliberal society' offers us analytical keys.This monument of scholarship draws on the history of ideas, philosophy and sociology. -- Le Monde, (praise for The New Way of the World)

Extremely scholarly, this book is an insistent invitation to push theoretical and social critique of the present order beyond the standard analyses. -- Le Monde diplomatique (praise for The New Way of the World)

For the most maximalist theorists of neoliberalism in thought and practice, look no further. -- Quinn Slobodian, author of Globalists: The End of Empire and the Birth of Neoliberalism (praise for Never Ending Nightmare)

Dardot and Laval present the post-2008 radicalization of neoliberalism as a nightmare and an opportunity. The nightmare is the stranglehold of a system of norms and treaties that benefit the oligarchy while immiserating the rest of us. The opportunity stems from the complete break between the elites and everybody else; neoliberalism has lost even the veneer of legitimacy. The challenge facing the Left is whether we can develop the political vision - and capacity - that will make this an opportunity for us. -- Jodi Dean, author of The Communist Horizon and Crowds and Party (praise for Never Ending Nightmare)

Building on their previous historical analysis of neoliberal rationality, Dardot and Laval now paint a much starker, more terrifying portrait of neoliberalism, that is alert to its violence and unyielding political logic. Never Ending Nightmare presents us with a bleak but compelling account of how neoliberal government has abandoned all pretence of democratic legitimacy. -- William Davies, author of Nervous States: How feeling took over the world (praise for Never Ending Nightmare)

Dardot and Laval's provocative study offers important insights with regard to the current state of radicalization of neoliberalism. Alth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EU as a quintessential ordoliberal project will surely trigger objections, their emphasis on legal norms as social technology to advance neoliberal transformations is very well taken. Critical examination of forms of neoliberal oligarchy goes beyond staples of post-democracy. Aficionados of both national populism and traditional party organizations will dislike their message for those on the left who are keen to develop an alternative imaginary of the future. -- Dieter Plehwe, co-editor of The Road from Mont Pèlerin: The Making of the Neoliberal Thought Collective (praise for Never Ending Nightmare)

This book represents much-needed commentary to the lectures delivered by Michel Foucault at the Collège de France in 1978/1979, entitled Birth of Biopolitics, and a compelling analysis of neoliberal governmentality in the era of capitalist financialization. -- Emanuele Leonardi, Theory, Culture & Society (praise for Never Ending Nightmare)

Erudite and provocative. -- Bruce Robbins, LA Review of Books (praise for Never Ending Nightmare)

This new and exciting translation of Dardot's and Laval's Common: On Revolution in the 21st Century is the best account of the communal idea available in contemporary theory and criticism. Philosophically rich and archeologically exhaustive, it stands as a founding text in the growing field of commons studies that will appeal to a wide variety of teachers, scholars, and activists who share a commitment to exploring a new reason of the common in everyday activities and practices. -- Davide Panagia, Professor of Political Scienc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USA (praise for Common: On Revolution in the 21st Century)

If we accept the authors' repeated contention that our present and future are profoundly bleak, we must equally recognize that a new way of engaging our present and future in common is required. This new way of engaging is precisely what Dardot and Laval offer under the name the common-the political principle that informs the collaborative, deliberative activity whereby new customs and institutions may be formed to transcend the social and political conditions threatening humanity and our world itself. -- Confluence: The Journal of the AGLSP (praise for Common: On Revolution in the 21st Century)

The common has emerged as a key concept in 21st century struggles for justice. Dardot and Laval not only explain why, they also inspire us to build and strengthen commoning movements. An important intervention. -- Jodi Dean, Professor of Political Science, Hobart and William Smith Colleges, USA and author of The Communist Horizon (praise for Common: On Revolution in the 21st Century)

In the past few years, movements across the planet have fought bravely for the re­appropriation of plundered and privatized goods, while revitalizing the critique of property, understood as the legal form structuring our political economy and everyday life. Common is a sweeping, erudite and combative attempt to draw the theoretical balance-sheet of these movements and critiques, to anatomize their spontaneous philosophies, and to transform 'common' into a political principle for a new model of revolutionary politics that could break through the impasses of contemporary radical thought and practice. An indispensable contribution to one of the central debates of our time. -- Alberto Toscano, Co-director of Centre for Philosophy and Critical Thought, Goldsmiths, University of London, UK and author of Fanaticism (praise for Common: On Revolution in the 21st Century)

What do you do after you have written one of the most devastating criticisms of neoliberal reason? Dardot and Laval's answer is to turn to the exact opposite to neoliberalism's reduction of nature to private property and society to competition, to the common. The common is framed here not as something lost in precapitalist mists, or something that only appears sporadically in moments of revolt, but as that which must be instituted and created by practices. There are no shortages of criticisms of the existing order, but Common is the rare book that takes the next step, not just imagining a new world, but showing us the conditions for its creation. -- Jason Read, Associate Professor of Philosophy, University of Southern Maine, USA, author of The Politics of Transindividuality (praise for Common: On Revolution in the 21st Century)

After their massive tome on Karl Marx, Pierre Dardot and Christian Laval strike again, this time with an even more wide-ranging militant investigation into the common. Combining long­term legal and conceptual history with classical and present-day political theory, they invite us to leave behind the habitual focus on either the tragic story of the enclosure of the commons or the heroic example of the Paris Commune and instead argue for an all-encompassing understanding of the common as the pivotal ground for a future politics. This is a must-read for each and everyone interested in the shared practice of instituting new forms of life in common. -- Bruno Bosteels, author of The Actuality of Communism (praise for Common: On Revolution in the 21st Century)
About the Author
Pierre Dardot is a philosopher and specialist in Hegel and Marx. His previous books include Saving Marx?: Empire, multitude, immaterial labor (with Christian Laval and El Mouhoub Mouhoud) and Marx, first name: Karl (with Christian Laval).

Haud Guéguen is a philosopher at the Conservatoire des arts et métiers in Paris. She works on the epistemology of the possible in the social sciences and the genealogy of neoliberal anthropology. She is the author, with Laurent Jeanpierre, of La perspective du possible , Paris, La Découverte, 2022.

Christian Laval is Professor of Sociology at the University of Paris Ouest Nanterre La Défense. His other books include L'Ambition socioologique: Saint-Simon, Comte, Tocqueville, Marx, Durkheim, Weber ; Jeremy Bentham, the artifices of capitalism ; School is not a business: Neo-liberalism attacks public education ; and The Economic Man: Essay on the Roots of Neoliberalism .

Pierre Sauvêtre is a sociologist at the University of Paris Nanterre. He works on Michel Foucault, Murray Bookchin, the commons and communalism. He is the author of Foucault , Paris, Ellipses, 2017.
Product Details
Publisher ‏ : ‎ Verso Books (February 1, 2025)
Language ‏: ‎ English
Paperback ‏ : ‎ 288 pages
ISBN-10 ‏ : ‎ 180429618X
ISBN-13 ‏ : ‎ 978-1804296189
====
내전, 대중 혐오, 법치 - 신자유주의는 어떻게 지배하는가
피에르 다르도,크리스티앙 라발,피에르 소베트르,오 게강 (지은이),정기헌 (옮긴이),장석준 (해제)원더박스2024-02-29

원제 : Le choix de la guerre civile: Une autre histoire du neoliberalisme (2021년)
















































미리보기


주제 분류
신간알리미 신청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일반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세계 경제사/경제전망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편집장의 선택
"신자유주의의 지배 전략"
제목인 내전, 대중 혐오, 법치(법을 이용한 지배)는 책이 분석한 신자유주의의 대중 지배 전략들이다. 신자유주의라니, 새삼스럽다. 저무는 시대의 헤게모니를 톺아볼 차례가 된 것인가? 그러나 이 책은 지난 시대의 회고가 아니다. 프랑스의 철학자와 사회학자로 이루어진 네 명의 저자들은 현재 세계에서 벌어지는 파행적 흐름의 원인을 여전히 굳건한 신자유주의에서 찾는다.

책은 하이에크, 미제스, 슈미트 등 대표적인 자유주의 이론가들의 사상을 꼼꼼히 살핀다. 이들의 이론은 단순한 경제, 정치사상에 머무르지 않는다. 신자유주의는 통합적이고 입체적으로 대중의 현실과 정신을 지배하는 기획이다. 그것은 “연합한 과두 지배자들이 국민 일부의 적극적 지지에 힘입어 다른 국민 일부를 상대로 벌이는 전쟁”으로 정의되는 '내전'을 통해, 우매한 다수의 대중에게 그 어떤 결정권도 절대 넘길 수 없다는 '대중 혐오'를 통해, 적을 처단하기 위한 '법을 이용한 지배'를 통해 현실화된다.

책에서 분석한 신자유주의의 이론과 전략들은 직설적이고 선명하다. 이 뚜렷함은 현재 한국 사회에 대한 강렬한 이해로 다가온다. 현실 정치의 무책임한 난도질, 그 속에 들어있는 것은 유해한 순진함이 아니라 명확한 의도일 수도 있겠다는 깨달음이 두려움을 몰고 온다. 우리는 지금 무엇에 지배 당하고 있는가.
- 사회과학 MD 김경영 (2024.03.05)


책소개
신자유주의는 대체, 왜, 어째서 끝나지 않는가? 근본적으로 반평등, 반민중, 반혁명적인 체제, 신자유주의의 기원과 진화를 파헤치다.

2008년 세계금융위기가 발생하자 수많은 지식인이 신자유주의 시대에 종언을 고했다. 그로부터 10여 년이 흐른 뒤 코로나19 팬데믹이 전 세계를 덮쳤고, 또다시 신자유주의 체제 종식에 관한 말이 쏟아져 나왔다. 그런데 과연 신자유주의는 끝났는가? ‘포스트 신자유주의’라는 말마저 식상한 것이 되어버린 지금, 여기에 단호히 ‘아니다’라고 이야기하는 이들이 있다. 『내전, 대중 혐오, 법치』를 쓴 네 명의 저자들이다.

신자유주의를 푸코의 통치성 관점에서 분석하여 “모든 종류의 평등 요구를 무력화하려는 기획”으로 바라본 저자들은, 이 폭력적인 체제의 특성을 ‘내전’이라는 키워드로 요약한다. 신자유주의는 그 출발부터 ‘자유’의 이름으로 ‘평등’에 맞서는 내전을 전략으로 택했다는 것이다. 이는 지배 세력이 국민 일부의 적극적 지지에 힘입어 다른 국민 일부를 상대로 벌이는 전쟁이다. 그들은 시장 질서와 경쟁에 반대하는 모든 ‘적’을 분쇄하기 위하여 법을 이용한 지배, 즉 법치를 내세우며, 경찰과 군대를 동원한 직접적인 폭력도 서슴지 않는다. 이 모든 것의 바탕에는 대중 혐오, 즉 반민주주의 정서가 자리 잡고 있다.

이 책은 하이에크와 대처에서부터 집권 좌파의 몰락, 신보수주의와 극우 포퓰리즘의 부상까지, 신자유주의의 계보를 따라 그것의 지배 전략을 파헤친다. 지난 80여 년 동안 보수는 물론 진보 세력까지 이 체제의 교리를 충실히 따랐다. 신자유주의의 작동 방식을 낱낱이 드러낸 이 책은 낡은 것을 떠나보내고 대안을 모색하는 이들, 진정 ‘새로운 세계’로 나아가고자 하는 이들에게 중요한 지침이 되어 줄 것이다.


목차


서문 ◦ 5

서론 신자유주의 내전의 전략들 ◦ 9

1장 칠레, 최초의 신자유주의 반혁명 ◦ 29
2장 신자유주의의 대중 혐오 ◦ 57
3장 강한 국가 예찬 ◦ 77
4장 정치 헌법과 시장의 입헌주의 ◦ 103
5장 신자유주의와 그 적들 ◦ 125
6장 사회 진화의 신자유주의적 전략 ◦ 151
7장 글로벌리즘과 내셔널리즘의 가짜 대안 ◦ 181
8장 가치 전쟁과 ‘인민’의 분열 ◦ 203
9장 노동 일선에서 ◦ 225
10장 반민중적 통치 ◦ 243
11장 신자유주의 전쟁 기계로서의 법 ◦ 263
12장 신자유주의와 권위주의 ◦ 283

결론 내전에서 혁명으로 ◦ 313

해제 낡은 것은 갔는데, 왜 새것은 오지 않는가? ◦ 336
미주 ◦ 352
찾아보기 ◦ 390
접기


책속에서


P. 17~18 신자유주의 내전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첫째, 이 전쟁은 과두 정치 세력이 앞장서 벌이는 ‘총력전’이다. 이 전쟁은 사회적 권리 축소를 노린다는 점에서 사회적이며, 외국인에게서 모든
종류의 시민권을 박탈하고자 하고 망명권을 제한한다는 점에서 민족적이며, 모든 저항과 비판을 억압하고 범죄화하기 위해 법적 수단을 사용한... 더보기
P. 23 신자유주의가 가하는 폭력은 무엇보다 민주주의와 사회에 대항해 시장 질서를 보호하는 폭력의 성격을 띤다. 신자유주의자들에게 시장 질서는 경제정책을 선택하는 문제를 넘어 시민-소비자 개인의 책임과 자유에 기초한 문명 전체가 달린 문제다. ‘자유 사회’는 이런 기초 위에 구축되었기 때문에 국가는 모든 특권을 가지고 독보적인 역할을 수행... 더보기
P. 61~63 신자유주의의 모든 조류는 ‘인민주권의 신화’ 위에 수립된 민주주의를 지속적으로 비판해왔다. 자유주의의 정치적 기초를 세운 선구자들(루이 루지에, 월터 리프먼, 루트비히 폰 미제스,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빌헬름 뢰프케)은 ‘민주주의에 대한 광신’, 즉 여론의 지배 혹은 대중의 어리석음이야말로 자유주의를 위협하는 진정한 위험이며, 인민주권 도그마의 유해한 효과를 제한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들을 마련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그들은 엘리트주의적이고, 개인의 선택과 사적 소유라는 최상위 원칙을 존중하는 제한된 형태의 민주주의만을 인정한다. 이것이 그들이 생각하는 ‘자유민주주의’다. (...)
인민, 보통선거, 다수결 원칙, 정치적 다원주의, 분배 정의, 공공 교육, 빈곤층을 싸잡아서 이보다 더 노골적으로 거부하기도 힘들 것이다. 신자유주의자들은 결코 민주주의를 온전히 지지하지 않는다. 그들은 항상 근본적으로 대중을 혐오하는 ‘자유민주주의’와 ‘무제한적’ 혹은 ‘전체주의적’ 민주주의를 구별하며, 전자를 수단으로 후자를 무력화하는 이론적 작업을 수행한다.
_ 「2장 신자유주의의 대중 혐오」 중 접기
P. 79~80 권위주의의 형태 혹은 동원되는 폭력의 강도 등의 차이가 있다고 해서 신자유주의자들 사이에 근본적인 이견이 있는 것은 아니다. ‘강한 국가’에 대한 신자유주의자들의 견해 차이는 본질적인 차이가 아니라 정도의 차이, 카를 슈미트의 표현에 따르면 ‘강도’의 차이다. 강한 국가의 한계는 인위적으로 정의되는 것이 아니라 자유 시장에 대한 적의 위협에 따라 비례적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특정한 신자유주의만을 가리켜 ‘권위주의적 자유주의’라고 표현하는 건 적절치 않다. 시장경제를 규제하기 위한 모든 민주주의적 의지를 공격한다는 점에서 신자유주의는 이미 내재적으로 권위주의적이다. 국가의 힘을 사용하는 형태가 다를 뿐이다. 신자유주의자들은 반복해서 말했다. 독재와 민주주의는 그 자체로 가치를 지니지 않는다. 단지 자유경제를 보장하기 위한 수단일 뿐이다. 이런 이유로 강한 국가는 파시스트 국가와 구별된다. 반대자들에 가해지는 노골적인 폭력은 그 자체로 근본적인 원칙이 아니라 맥락적인 것이다. 그렇지만 미제스가 설명하듯이 상황에 따라 신자유주의 국가는 시장의 적들을 물리치기 위해 파시스트 폭력에 의존하는 것도 가능하다.
_ 「3장 강한 국가 예찬」 중 접기
P. 127 신자유주의의 다양한 분파는 자유경제에 대한 위협에 맞서 싸우기 위해 정치 영역에 개입하는 것을 주저하지 않았다. 그러나 신자유주의가 단순히 자신의 앙숙인 사회주의에 반대한다고 말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신자유주의의 다양한 분파들은 이데올로기와 문화 영역에서 사회주의와 맞서 싸우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법과 조치, 제도의 확립을 통해 향후 어떤 사회주의적 정책들도 도입할 수 없게끔 방벽을 세우고자 한다. 신자유주의자들의 중심 목표는 처음부터 사회주의를 패퇴시키는 것이며, 더 나아가 노동조합을 약화하고, 국가의 사회복지를 후퇴시키는 것이다.
_ 「5장 신자유주의와 그 적들」 중 접기
더보기



추천글
『내전, 대중 혐오, 법치』는 우리 시대가 과연 어디를 향하는지, 아니 어디로 향해야 하는지 고민하는 이들이 반드시 읽고 토론해야 할 책이다. 몇 가지 논쟁거리에도 불구하고 이 책이 이룬 성취가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필자는 『신자유주의의 탄생』에서, 신자유주의를 넘어서려면 반드시 생활세계, 국민국가, 지구질서라는 세 가지 수준을 포괄하는 정치 전략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런데 (저자들의 이전 저작) 『새로운 세계합리성』은 이 가운데에서 생활세계의 정치가 추구해야 할 바가 아래로부터의 민주주의(자치)와 협동(돌봄)에 바탕을 둔 대안적 세계합리성의 구축임을 분명히 한다. 그리고 『내전, 대중 혐오, 법치』는 국민국가 수준에서 대안적 정치의 과제가 민주주의와 평등에 바탕을 둔 광범한 연대를 실현시켜 내전의 정치를 제압하는 것임을 밝힌다. 이것만으로도 탈신자유주의 전략의 상당 부분이 해명된 셈이다. 아마도 지구 질서 차원에서는 경제력-군사력 경쟁이 아니라 문명 붕괴에 맞선 연대가 필요하다는 논의를 덧붙인다면, 탈신자유주의 전략의 전체 그림이 얼추 꼴을 갖추게 될 것이다.
이 책 마지막 장을 덮으며 우리가 새겨야 할 진실은 이것이다―신자유주의 시대는 결코 저절로 저물지 않는다는 것. 그에 필적할 또 다른 문명적 기획이 구축되지 않는다면, ‘장기 신자유주의 시대’는 끝나지 않을 것이다. 『내전, 대중 혐오, 법치』는 더 늦지 않게 이 기획에 착수하라는 촉구이며, 이 기획이 추구해야 할 방향을 안내하는 듬직한 조언이다.
- 장석준 (사회학자, 출판&연구공동체 산현재 기획위원)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한겨레
- 한겨레 2024년 3월 1일자 '책&생각'
서울신문
- 서울신문 2024년 3월 1일자
세계일보
- 세계일보 2024년 3월 1일자 '새로 나온 책'



저자 및 역자소개
피에르 다르도 (Pierre Dardot)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파리 낭테르대학(제10대학)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헤겔과 마르크스를 전공했다. 같은 대학 소피아폴Sophiapol 연구소에 소속되어 마르크스와 커먼즈에 관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2004년에 크리스티앙 라발과 ‘퀘스천 마르크스Question Marx’를 설립하였고, 이후 그와 함께 『새로운 세계합리성』(국내 출간), 『끝나지 않는 악몽Cecauchemar qui n’en finit pas』 등 신자유주의를 분석한 다수의 책을 펴냈다. 2018년 가을, 동료 석학들과 ‘신자유주의와 대안 연구그룹GENA’을 결성해 연구에 힘쓰고 있다. 접기

최근작 : <내전, 대중 혐오, 법치>,<새로운 세계합리성> … 총 3종 (모두보기)

크리스티앙 라발 (Christian Laval)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파리 낭테르대학의 사회학과 교수이자 같은 대학 소피아폴 연구소 소속으로, 자유주의와 제러미 벤담의 공리주의를 전공했다. 1990년대부터 신자유주의가 교육에 끼친 영향을 광범위하게 연구했고, 피에르 다르도와 ‘퀘스천 마르크스’를 설립해 『새로운 세계합리성』을 비롯해 신자유주의를 주제로 한 여러 저작을 공저했다. ‘신자유주의와 대안 연구그룹’을 함께 결성해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최근작 : <내전, 대중 혐오, 법치>,<새로운 세계합리성> … 총 3종 (모두보기)

피에르 소베트르 (Pierre Sauvere)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파리 정치대학교(IEP)에서 정치학, 사회학,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미셸 푸코로부터 영감을 받아 20~21세기 통치성을 분석한 논문을 발표했다. 파리 낭테르대학 소피아폴 연구소 일원이자 ‘신자유주의와 대안 연구그룹’ 설립 멤버로, 커먼즈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최근작 : <내전, 대중 혐오, 법치> … 총 2종 (모두보기)

오 게강 (Haud Gueuen)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프랑스 국립공예학교(CNAM)의 철학 교수로, 신자유주의적 주체화와 실현 가능한 유토피아를 주제로 연구하고 있다. 파리 낭테르대학 소피아폴 연구소 일원으로 ‘신자유주의와 대안 연구그룹’을 함께 설립했다.

최근작 : <내전, 대중 혐오, 법치>

정기헌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파리8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을 졸업했다. 번역한 책으로는《프란츠의 레퀴엠》,《남겨진 사람들》,《고독의 심리학》,《트레이더는 결코 죽지 않는다》,《고양이가 내게 말을 걸었다》,《퀴르 강의 푸가》,《철학자에게 사랑을 묻다》,《프랑스는 몰락하는가》,《해피스톤은 왜 토암바 섬에 갔을까?》,《괜찮아 마음먹기에 달렸어》,《리듬분석》, 《논 피니토: 미완의 철학》, 《낭비 사회를 넘어서》, 《마르크스의 유령》, 《엘불리의 철학자》 등이 있다.




장석준 (해제)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사회학을 공부했고 진보정당 운동의 정책 및 교육 활동에 참여해왔다. 진보신당 부대표, 정의당 부설 정의정책연구소 부소장을 역임했으며, 출판&연구공동체 산현재의 기획위원이다. 저서로 《근대의 가을》 《장석준의 적록서재》 《세계 진보정당 운동사》 《사회주의》 《신자유주의의 탄생》 《능력주의, 가장 한국적인 계급 지도 / 유령들의 패자부활전》(공저) 등이 있고, 《길드 사회주의》 《G. D. H. 콜의 산업민주주의》 《유럽민중사》 《안토니오 그람시 옥중수고 이전》(공역)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최근작 : <서울리뷰오브북스 13호>,<2023 초등 4학년 필독 세트 - 전5권>,<근대의 가을> … 총 56종 (모두보기)


출판사 소개
원더박스
출판사 페이지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올챙이>,<만화 예술의 역사 4 : 바로크 예술>,<내전, 대중 혐오, 법치>등 총 101종
대표분야 : 사회학 일반 2위 (브랜드 지수 6,022점)





출판사 제공 책소개



낡은 것은 갔는데, 왜 새것은 오지 않는가?
질문이 틀렸다, 신자유주의 시대는 아직 저물지 않았다

낡은 것은 가고 새것은 아직 오지 않은 시대, 미국의 정치철학자 낸시 프레이저가 안토니오 그람시의 문구를 빌려 현대를 진단한 이 명제는 많은 지식인의 공감을 샀다. 주지하다시피 ‘낡은 것’은 신자유주의로, 1970년대부터 전 세계를 지배해 온 이 체제가 더 이상 힘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것에 여러 식자들은 동의하고 있다. 그런데, 대체 왜 새것은 오지 않는가?
기실 “신자유주의는 끝났다”라는 말은 ‘신자유주의’라는 말만큼이나 상투적인 것이 되었다. 2008년 9월 19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서브프라임 모기지에서 비롯한 금융위기를 잠재우기 위해 ‘전례 없는 조치’를 시행하겠다고 공언한다. 무한 공적자금 투입, 전방위 시장 개입을 통해 월스트리트의 붕괴를 막겠다는 것이었다. 이 조처를 두고 수많은 지식인은 ‘신자유주의 종주국’이라 할 법한 미국이 ‘작은 정부 큰 시장’을 포기했다며 신자유주의에 종언을 고했다.
그로부터 10여 년 뒤, 신자유주의는 또 한 번의 큰 위기를 맞는다. 코로나19 팬데믹이 글로벌 경제에 제동을 건 것이다. 셧다운과 국경 폐쇄가 이루어졌고, 거의 모든 나라의 정부가 위기를 모면하고자 천문학적인 공적 자금을 투입했다. 또다시 신자유주의 종말론이 고개를 들었고, 너도나도 ‘포스트 신자유주의’를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과연 신자유주의는 끝났는가? 그렇다면 왜 새것은 오지 않는가? 새것이 오지 않는 이유가 낡은 것이 아직 저물지 않았기 때문이라면? 『내전, 대중 혐오, 법치』는 파리 낭테르대학에 거점을 둔 네 명의 석학이 함께 쓴 책으로, 저자들은 여전히 세계가 신자유주의의 지배 아래 있다고 주장하며 그 지배 방식에 주목한다. 푸코의 통치성 관점에서 이 체제가 취하는 전략적 특성에 초점을 맞출 것을 제안하는 저자들은 신자유주의를 단순한 경제·정치 사상으로 여기는 관점에서 벗어나 “모든 종류의 평등 요구를 무력화하려는 기획”으로 바라본다. 이 명제에 따르면, 신자유주의는 아직 저물지 않았다.

내전, 대중 혐오, 법치, 세 키워드로 꿰뚫는
신자유주의의 기원과 진화

저자 가운데 피에르 다르도와 크리스티앙 라발은 『새로운 세계합리성』(오르트망 옮김, 그린비)에서 신자유주의가 걸어온 궤적과 그 주창자들의 이론을 분석한 바 있다. 『내전, 대중 혐오, 법치』에서도 다른 두 명의 저자들과 함께 이 방법론을 채택해 신자유주의가 태동한 1938년 월터 리프먼 학술대회부터 오늘날까지, 사상사적 계보를 따라 이 체제에 내재한 특성을 밝혀낸다.
저자들이 제기하는 신자유주의의 가장 핵심적인 전략이자 특성은 ‘내전’으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군사적 의미와는 전혀 다른 의미를 갖는다. 신자유주의 체제가 벌이는 내전을 “연합한 과두지배자들이 국민 일부의 적극적 지지에 힘입어 다른 국민 일부를 상대로 벌이는 전쟁”이라고 정의한 저자들은 칠레 피노체트의 군사 쿠데타부터 시작해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기수였던 대처와 레이건 집권기(다시 말해 국가와 사회의 책임을 강조한 사회민주주의 좌파가 실각하고 패퇴한 시기)를 거쳐 세계 곳곳에서 극우 세력이 부상한 지금 이 순간까지, 역사적 사건들을 면밀히 살피며 신자유주의가 벌이는 ‘내전’을 분석해 나간다. 내전에는 필연적으로 ‘내부의 적’이 상정되어야 하는데, 역사적으로 ‘공산주의’ 혹은 ‘집산주의’가 적으로 지목되었고, 오늘날에는 인종주의 또는 보수주의와 결합해 새로운 적을 끊임없이 만들어내고 있다. 그렇게 복지 정책, 노동조합 등 ‘평등’을 추구하는 모든 것이 신자유주의의 적으로 상정되었으며 오직 시장 질서와 경쟁만이 옳은 것으로 여겨진다.
이 지점에서 신자유주의 체제의 고유한 주요 속성 하나가 드러난다. 내부의 적을 분쇄하기 위해 ‘법을 이용한 지배’, 즉 법치를 내세운다는 점이다. 신자유주의의 법에 대한 선호는 반대파를 향한 폭력으로도 드러난다. 오늘날 지배 세력은―좌파와 우파를 막론하고―반대 세력을 저지하기 위해 경찰력과 사법 당국을 이용한다. 2018년 프랑스 정부의 ‘노란 조끼 운동’에 대한 탄압을 예로 들 수 있다. 오늘날 국가는 ‘안전’을 이유로 반대 세력을 억압할 법을 제정하고, 집행한다.
마지막으로 저자들은 신자유주의의 대중 혐오, 즉 반민주주의적 면모에 주목한다. 미제스는 “대중은 사유하지 않는다. 정신적으로 인류를 지도하는 일은 스스로 생각할 줄 아는 소수의 사람들에게 맡겨야 한다”라고 이야기했고, 하이에크는 민주주의를 ‘사적 권리에 대한 침해’로 간주했다. 이들을 비롯한 신자유주의 이론가들은 정도나 방법의 차이는 있지만 모두 ‘인민주권’을 부정하며 인민의 권력을 제한하는 데 관심을 두었다. 인민(대중)은 만족을 얻을수록 평등의 이름으로 더 많은 요구를 내세우기 때문에, 그 어떤 수단을 써서라도(때로는 독재를 이용해서라도) 이를 막아야 한다는 게 신자유주의자들의 공통된 견해였다. 결국, 신자유주의가 벌이는 내전은 ‘자유’를 앞세워 모든 ‘평등’ 요구에 대항해 벌이는 전쟁이라 할 수 있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다시 신자유주의의 계보를 톺는 것에 관하여

어느 세력이든 자기편만 극단적으로 챙기는 모습, 반대 세력에 대한 철저한 무시 혹은 탄압, ‘법에 의한 지배(Rule by law)’로 미끄러져 버린 법치주의, 갈라치기, 갈등, 분열, 혐오…. 눈 밝은 독자라면 책의 한국어판 제목이자, 저자들이 신자유주의 통치성의 핵심으로 제시하는 세 키워드가 오늘날 우리 사회와 묘하게 포개어지는 지점을 포착해냈을 것이다.
다만 『내전, 대중 혐오, 법치』로 표면적인 정치 상황을 읽어내는 데 그친다면 아쉬움이 남는다. 저자들은 신자유주의의 계보와 역사적 사건을 샅샅이 분석하여 이 사상이 경제·정치에 국한하지 않고 사회·문화에까지 걸친 전 지구적 질서가 된 과정을 추적한다. 신자유주의가 어떻게 “법과 노동을 재조직해 새로운 노동 규범을 강요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것을 해방 혹은 자기실현이라는 매력적인 말로 포장하여 수용할 만한 것으로 만드는 데까지 나아”가는지, “여성의 권리를 문제 삼고, 동성 결혼을 반대하도록 대중을 선동”하는 ‘도덕적 십자군’의 형태를 취하는지, 어떻게 사람들로 하여금 기업가 정신 즉 ‘자기 경영자’ 모델을 내면화하도록 하는지, “어떻게 대립의 경계를 이동시켜 인구의 일부가 권위주의를 지지하게 만드는지” 낱낱이 드러낸다.
이 분석을 따른다면 능력주의를 맹신하는 경향이나 소수자를 향한 소위 ‘역차별’ 논란, 약자 혐오, ‘갓생’으로 표상되는 과도한 자기계발 담론, 극명하게 양분되는 정치 등은 모두 신자유주의의 변형 혹은 발현이다. 주지하다시피 신자유주의가 한국 사회에 전면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 사건은 IMF 외환위기다. 그로부터 30년 가까이 지난 지금, 다시 그 계보를 근본에서부터 통찰한 이 책은 ‘신자유주의를 체현한 한국 사회’를 들여다보는 귀중한 렌즈가 될 수 있다.

모든 대안을 봉쇄한 것으로 보이는 이 폭력적인 체제에 맞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그렇다면 신자유주의는 어떻게 전 지구적 질서가 될 수 있었을까? 우파는 물론 좌파 역시 신자유주의 통치 전략을 적극적으로 이용했기 때문이다. 심지어 “좌파 버전으로 선택된 신자유주의적 통치성은 문화적, 도덕적 대의를 추구하기 위해서 사회 평등을 쟁취하기 위한 역사적 투쟁을 외면해왔”으며, “신자유주의가 집권하고, 사회를 변형시키는 저항할 수 없는 힘으로 자리 잡는 데 성공한 것은 우파의 반동적 버전과 좌파의 현대주의적 버전으로 이중화된 덕분에 가능했다”라는 저자들의 지적은 뼈아프다. 이러한 두 분파의 가치 전쟁 속에서 대중은 분열하고, 모든 대안은 가로막힌다. 신자유주의의 내전 전략은 ‘분할하여 통치하라(Divide and Rule)’라는 격언을 충실히 수행하는 셈이다.
그러니 우리는 이 이항 대립에 단호히 저항해야 한다. 다시 말해 신자유주의의 내전 전략을 분쇄해야 한다. 저자들은 “오직 인민의 혁명만이, 시민들에 의해 전개되고 통제되는 혁명만이 신자유주의적 내전 전략에 대항할 수 있다”라고 이야기하며 신자유주의가 짓밟고자 하는 것, 즉 평등과 민주주의만이 그 지배에서 벗어날 해법임을 분명히 제시한다.
사회학자 장석준은 해제에서 “신자유주의 시대는 결코 저절로 저물지 않는다”라며, “그에 필적할 또 다른 문명적 기획이 구축되지 않는다면, ‘장기 신자유주의 시대’는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논설한다. 신자유주의의 폭력적인 통치성을 기원에서부터 꿰뚫는 이 책은 신자유주의 체제를 끝장내고 ‘새로운 세계’로 나아가고자 하는 이들에게 훌륭한 지도가 되어 줄 것이다. 접기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
내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이 아직 없습니다.

마니아
읽고 싶어요 (20)
읽고 있어요 (5)
읽었어요 (19)
이 책 어때요?



구매자
분포



0% 10대

0.3%


4.1% 20대

5.6%


8.1% 30대

12.0%


9.9% 40대

14.5%


7.9% 50대

21.8%


1.0% 60대

14.7%
여성 남성

평점
분포

9.1




78.6%


14.3%


0%


0%


7.1%



100자평








스포일러 포함
글 작성 유의사항


구매자 (0)
전체 (7)
공감순







서론을 읽으니 현재의 국제정세와 한국사회가 보인다.
신자유주의가 지배하는 현상을 목도하게 되고, 우리 사회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생각하게 만드는 책이다. 추천합니다.
greygandalf 2024-02-29 공감 (12) 댓글 (0)
Thanks to
공감





신자유주의의 무서움은 신자유주의의 부산물들이,
스스로는 그 신자유주의에 용감히 저항하고 있다고 착각하게 만드는 데 있다.
특히 ‘법치‘에 대한 논의는 사법만능주의에 중독된 인간들이 보면 결코 이해는 되지 않겠지만,
아주 중요한 주제일 것이다.
추풍오장원 2024-02-28 공감 (11) 댓글 (0)
Thanks to
공감





사회주의,공산주의국가보다 신자유주의가 100배, 1000배 낫다
dalki103 2024-03-01 공감 (10) 댓글 (5)
Thanks to
공감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l 공유하기
l 북마크하기찜하기 l thankstoThanksTo
붉은까마귀 2024-03-01 10:26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차마 반박은 못 하고 한 물 간 공산주의 타령하며 신자유주의 두둔하네 ㅋㅋ 그리고 유럽에선 여전히 사회민주주의를 추구하는 정당들이 기성정당으로 활동 중이다

ivguys76 2024-03-06 10:29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무식하면 용감하다를 몸소 실천!!

얼리버드 2024-03-08 13:2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아직도 레드컴플렉스에서 벗어나지 못한 자신의 신분이 어디에 있는지 모른채 공장하나씩돌리고 이재용과 와인마시는 신분이라고 대단한 착각들 하며 살고있다 이사람은 당장 신자유주의니 니들 건강보험지원 못해준다 하면 다리에 힘이 빠질것이다 착각하지마라 니는 거지신분이다~ 아무리 노력해도 다 뺏기게 되어있다 그게 신자유주의다 신자유주의는 자본금융이 모든것을 지배하는 무서운 괴물사회임을 아직도 모른채 착각속에 조정당하며 살고있는 거지 불쌍한 인간일 뿐이다

쭈니 2024-03-12 10:5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왜 가난한 사람들은 부자를 위해 투표하는가. 에휴

한국시민 2024-03-24 12:33   좋아요  1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뉴라이트나 친일베들을 옹호하는 사람들 중 상당수가 개신교인들입니다
그 이유는 전모씨 같은 세속적 대형교회의 사이비 극우(?)목사들의 영향 탓이 크고
대형교회나 이단교회가 아니더라도 한국 개신교인 들의 사고 및 가치관이 비교적 물질주의적이고 극우반공적인 경향이 강한 까닭이라고 생각됩니다
뉴라이트 세력의 성립 시 부터 김진홍 목사의 뉴라이트 연합이 그 한 축을 담당 했었고
나머지 한 축은 뉴라이트 이론가인 이영훈의 스승이었던 안병직과 극우개신교 교수였던 박효종이었죠
극좌 맑스주의경제학자들과 친미친일적인 극우(?)개신교도들의 결합이라는 희한한 조합이 바로 친일매국사관 뉴라이트사상의 탄생 배경이었습니다
왜 신자유주의에 개신교인들 중의 일부가 그토록 열광(?)하는 경향을 보이는 지를 알 수 있게 하는 단서입니다




통치권력이 ‘자유‘를 지속적으로 반복 강조하며 사회 정의에 관한 요구를 묵살하는 장면을 보며 이책의 저자들의 통찰에 동감하는 바이다.
제레미 2024-02-28 공감 (8) 댓글 (0)
Thanks to
공감





구매자의 100자평은 없고 판매는 잘 되는 이런 책 홍보와 유통의 이면엔 무엇이 있을까 항상 궁금하다.
딱부리 2024-03-05 공감 (7) 댓글 (0)
Thanks to
공감


더보기




마이리뷰
구매자 (1)
전체 (7)
리뷰쓰기
공감순




내전, 대중 혐오, 법치

이 책의 공저자 중 한 명인 피에르 다르도는 크리스티앙 라발과 함께 신자유주의의 공통된 주제를 연구하는 철학자이자 지식인입니다. 그는 1988년 파리 낭테르 대학에서 자크 비데의 지도 하에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특히 다르도는 마르크스 연구에 대한 평생의 헌신으로 잘 알려져 있는 인물이기도 합니다.다음 크리스티앙 라발은 파리 낭테르 대학의 철학 및 사회학 연구자로 공리주의의 역사과 고전 사회학에서의 역사 및 교육 시스템에 관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대로 라발은 다르도와 함께, 신자유주의의 정치적 전략과 그... + 더보기
베터라이프 2024-03-12 공감(17) 댓글(0)
Thanks to
공감



< 우리의 눈물로 쓴 신 자유주의의 회고回顧 > feat. 2024 두 번째 별만점 신간

FATMAN의 공식 북 리뷰 시리즈 101-24-18 내전, 대중혐오, 법치, 피에르 다르도 Pierre Dardot 외 저, 2024 ★★★★★

아..학문적으로 신자유주의를 완전히 파헤친 역작! 올해 읽은 책 중에 두번째로 완벽하네요! 강력 추천합니다.
(자세한 리뷰는 프로필 링크나 아래의 링크 참조 바람.
https://m.blog.naver.com/fatman78/223388438278)

2. 저자의 의도
이번 신간, “내전, 대중 혐오, 법치. 신자유주의는 어떻게 지배하는가”는 프랑스 신 좌파의 산실, 파리 낭테르대학 소속의 “신자유주의에 대한 대안 연구 그룹(GENA)” 멤버들이 펴낸 일종의 연구 총서격인 저서이다. 대표 저자인 피에르 다르도 Pierre Dardot 와 크리스티앙 라발 Christian Laval 은 이미 지난 2009년도에 “새로운 세계합리성”이라는 저서로 신 좌파 진영의 지지를 이끌어 낸 바 있는 최전선의 학자들이다. (우리 나라에는 2022년에 소개된 바 있다.)

신 자유주의가 우리를 향해 자신들의 사상을 정립하고, 우리의 삶을 재정의하려 그들만의 학회를 열었듯이, 이 대륙 출신들의 신 좌파들도 대열을 정비하고 비로소 “적”을 규정하는 작업을 시작하기에 이르렀다.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양극화”의 주범으로 신자유주의를 공고히 지목하고, 현재 우리의 일상이 무너진 근본에는 그것이 어떻게 작동했는가를 낱낱이 파악하여 기록한 그 책으로 진보 진영의 담론에서 일시에 주목을 이끌어낸다. - 역시 싸움에는 피아식별이 중요한 법! -

이번 신간에서 다르도는 지난 명저에서 한 발 더 나아가, 현재의 상태를 “내전”으로 규정하며 이미 철이 지난 신자유주의의 망령이 왜 아직도 우리 삶에서 떠나지 못하는가에 대한 이어진 담론으로 연결하고 있다. 또한 세계 각국에서 나타나는 정치 혐오증 내지는 편협한 포퓰리즘 - 극우의 성향을 띈 - 의 만연에 수구 기득권 세력들의 이른바 신자유주의로 포장한 맹공을 여과없이 드러내며 그들의 민낯을 우리에게 고발한다. - 그들(기득권)은 사실 신자유주의의 주장에는 관심도 없다. 그저 대중들을 기만하기 위한 도구일 뿐. -

게다가 입법부(의회) 장악으로 그들의 목적을 위해, 민주주의의 가장 근간인 “법치”를 역으로 활용하여 어떻게 우리의 삶을 그들의 의도대로 바꾸는지를 그동안의 많은 정치적 사건들과 경제적 사안들로써 독자들에게 고하고 있다. 거기다 전 세계적으로 관찰되는 권위주의 정권의 경우도 포괄하여 이들 모두 대중들의 믿음에 반해 권력을 획득하고, 그들과 함께 하는 세력들 - 주로 경제적 이득을 바라는 자들 - 과 결탁하여 지금의 정치적 대혼란을 불러오는지 마져도 큰 흐름에서 다루고 있다.

* 세 줄 요약평.
1. 신자유주의는 시작부터 “부도덕”했고, 법마저 유린했다.
2. 그들의 만행은 우리를 무제한적인 경쟁으로 몰아넣은 것뿐 아니라, 그들의 목적을 위해 정치적으로 우릴 타락시켰다.
3. 따라서 지금은 신자유주의와의 “내전”상태이며 우리는 이에 적과 맞서 근본적으로 싸울 준비가 되야한다.

#신자유주의 #원더박스 #장석준의적록서재 #내전대중혐오법치
#정치 #사회비판
#책리뷰 #책추천 #도서리뷰 #도서추천 #서평
- 접기
fatman 2024-03-19 공감(3) 댓글(0)
Thanks to
공감



신자유주의에 대한 주권자들의 행동 지침서



지난 10여 년간 영화판을 좌우했던 마블 시리즈 중 <시빌 워>의 한 장면은 너무나도 인상적으로 남아있습니다. 공항 활주로를 횡단하며 캡틴 아메리카와 아이언 맨을 필두로하는 두 개의 편으로 갈린 히어로들이 자신들의 능력을 서로의 동료였던 상대편에게 효과적(!)으로 사용하며 그야말로 전쟁을 벌이는 장면입니다. 이들의 내전 (Civil War)의 이유는 ‘초인 등록법’, 다시 말해 히어로들의 개별 행동과 통제되지 않은 활동으로 크고 작은 피해가 시민 사회에 초래되니 이제라도 정부 공권력의 통제권 아래 이 히어로들을 두겠다는 것인데, 캡틴 아메리카는 반대했고 아이언 맨은 찬성의 입장이었습니다.



“법의 우위를 인정함으로써 폭력을 중단하는 것이 정치라면, 내전은 투키디데스가 말한 대로 ‘열광과 복수를 하나로 뒤섞는 분노와 폭력의 무원칙한 분출이다. 상기와 같은 반명제들은 그것의 전략이라는 측면에서 신자유주의에 접근하는 길을 막는다. 전략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정치가 극악한 폭력의 사용을 완벽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내전이 법을 수단으로 전개될 수 있기 때문이다.”

<p.10-11. 서문 중>



<시빌 워>의 히어로들이 편먹고 싸웠듯, 우리의 역사에서도 복잡다단한 근대사회를 지나며, 우리의 국가 사회 내에는 저마다의 가치와 이익으로 찬반이 갈리거나, 특정 무리들의 가치에 반하는 정부의 정책 등에 반대하는 불복종 행위가 촉발, 확대되면서 국가 외부의 적과 충돌인 전쟁의 상대 개념인 내전의 역사가 시작되었고, 이것이 신자유주의라는 이름의 이데올로기가 되어 국가의 정치기조가 되기도 하고, 때로는 지배 유지를 위해 사회적, 정치적 갈등을 벌이는 현장으로 변모하게 유도하는 경우도 있다고 책은 말합니다.



번역판의 제목 <내전, 대중 혐오, 법치>와 달리 책의 원제 <LE CHOIX DE LA GUERRE CIVILE - Une acutre histoire du neoliberalisme>입니다. 영어로 번역하면 <THE CHOICE OF CIVIL WAR - Another History of Neoliberalism> 즉, <내전의 선택 - 신자유주의의 다른 역사> 정도로 번역할 수 있겠습니다. 신자유주의가 어떻게 내전이라는 전략을 선택하여 역사적으로 어떻게 나아왔는가를 보여주는 책의 이야기 줄기를 이해하는데 나름의 실마리가 될 수 있을 듯 합니다.



“이런 차이에도 불구하고 모든 신자유주의자에게 근본적인 질문은 이것이었다. 어떻게 ‘대중으로 이해되는 인민의 권력을 제한할 것인가? 루지에의 답은 명확하다. 새로운 ’귀족‘에게 권력을 양도해야 하며, 대중으로부터 분리된 정치적 권력기관을 세울 수 있는 ’통치의 기술‘을 정립해야 한다.”

<p. 73-74. 2장_신자유주의 대중 혐오. 중>



그렇게 자라난 신자유주의가 어떻게 그 세력을 공고히 해나갈지에 대한 고민의 역사와 전략들을 차근차근 역사와 정치철학의 목소리를 들려줌으로 빌드 업해서 보여줍니다. 그중 큰 변곡점이 되는 ‘대중 혐오’에서 그들의 두려움과 이에 대한 극복의 방법들의 실례들을 들어 제시해줍니다. 능력주의, 극우파의 출현과 보수주의의 부상, 법치, 인종주의 등의 반평등 기조, 대중의 경쟁을 부추기는 신자유주의의 치밀하고 강한 내전 전략들에 어떻게 세상이 좌지우지 되어왔는지를 돌아보며 그 낙관적이지만은 않은 미래를 전망합니다. 그리고 대항해서 민주주의를 지켜내야 할 액션플랜을 제시하며 책은 마무리됩니다.



“그러니 우리는 민주주의적 정치 활동을 막는 모든 장애물에 대항해 싸워야 한다. 장애물은 많다. 사회경제적 불평등과 문화적 불평등, 과두제에 지배받는 정당 간의 파괴적인 경쟁, 정치 활동의 활력을 빼앗으면서 민주주의의 의미를 탐색한다고 주장하는 의회주의와 선거지상주의... (후략)”



한 달 앞으로 다가온 대한민국 제22대 총선. 이 핵분열과 핵융합의 과정 같은 시간 속에서 여지없이 대중을 편 가르고 기득권 정치와 거대 양당정치, 엘리트 정치와 법치라는 이름의 폭압적 행태들을 또다시 목도하게 될 것입니다. 그러기에 이 책 <내전, 대중 혐오, 법치>는, 앞으로도 한동안 우리 공동체를 내전의 양상으로 몰고 갈 그 신자유주의자들의 들켜버린 마음을 담은 비책이자, 그런 법치라는 이름으로 자행되는 억압적 대중 혐오의 내전 전략을 대하는 우리 주권자들의 태도와 마음가짐을 담은 지침서가 될 수 있다 싶습니다.



#내전대중혐오법치 #신자유주의는어떻게지배하는가 #원더박스

#도서제공 #서포터즈 #서평단리뷰
- 접기
function05 2024-03-10 공감(2) 댓글(0)
Thanks to
공감



이론의 문제가 아니라 구조의 문제다.

책은 두 가지로 나뉜다. 기본적인 지식이 필요인 책과 그 나머지. 이 서적은 전자에 속하는데, 그것도 전문용어들을 어느 정도 숙지하고 의미까지 기본적으로 이해된 상태를 요구한다.

외국 사례를 들고 있지만 사실 잘 이해하진 못하겠고, 대한민국이 참 다행이다 싶은 게 어지러운 시절 군사독재가 자연스럽게 문민정부로 이어져내려온 것. 그게 아니었다면 쿠데타가 일상인 나라가 되었을 것이고 평생 개발도상국에 머물러있었을 것이다.

정치가 문제가 아니라 정치인들이 문제다. 그리고 그것들을 숭배하는 눈이 먼 사람들과 한 세트이다. 다들 정치에 대해서 이야기하는데 숭배와 증오의 정치는 정치인들에게 프리 패스권을 안겨준다. 가장 효율적이고 쉽게 표를 구하는 일인데 왜 굳이 어려운 일을 마다하나. 우리가 정치를 이야기할 때 이 기본 배경을 기본으로 깔고 이야기를 시작해야 된다. 신자유주의니 사회주의니 권위주의 독재, 자유방임이니 하는 것들은 솔직히 크게 와닿지 못한다. 숭배의 대상인데 무슨 놈의 정치인가. 그냥 권력 지향 정치인만 있고 그걸 숭배하는 무리가 전부인데 멀 그렇게 어렵게 이야기하는가.
- 접기
시원하게 2024-03-07 공감(2) 댓글(0)
Thanks to
공감



내전, 대중 혐오, 법치



“실패하면 반역, 성공하면 혁명 아닙니까?”




‘내전’이라 하면 왠지 이런 그림을 떠올릴 것 같지만, 여기서 말하는 내전은 좀 더 포괄적이다. ‘서로 다른 사회적 이해 당사자들 간의 경쟁, 특히 계급 투쟁’이라고, 저자들은 내전을 이렇게 정의한다. ‘시장’이라는 하나의 정의를 수호하기 위하여, 신자유주의는 ‘내전’이라는 전략을 사용한다. 그것은 경찰력을 동원하여 유혈 사태로 번지는, 우리가 흔히 상상하는 내전의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사회 내부의 두 세력 간의 충돌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는 ‘자유’의 이름으로 ‘평등’과 맞서는, 신자유주의의 주요 전략에 따른 결과이다.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그리고 최근의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며 신자유주의는 끝났다는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지만, 저자들은 여러 장을 할애하며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이 책은 신자유주의의 지배 전략을 ‘내전’과 ‘대중 혐오’, ‘법치’라는 키워드로 이야기하며, 이를 타개할 새로운 방향을 우리에게 제시하고 있다.




1973년, 칠레의 장군 ‘아우구스토 피노체트’는 쿠데타를 일으켜 살바도르 아옌데의 좌파 정부를 전복시키고 최초의 신자유주의 정부를 수립한다. 피노체트는 ‘법으로부터도 자유로운 권력’이라는 개념을 동원하여 권력 찬탈을 정당화했고, 노조의 권리를 엄격히 제한하고 전면적인 민영화를 추진하는 등 파격적인 신자유주의 정책을 도입했으며, 이윽고 1980년 개헌을 통해 국민주권마저 빼앗고 만다. 흔히 시장에 모든 것을 맡긴다는 개념으로 알고 있는 신자유주의가 독재와 어울리지 않아 보이지만, 사실 신자유주의는 민주주의에 대한 비판을 밑바탕에 깔고 있기에 가능했다.




신자유주의자들은 여론의 지배, 혹은 우매한 대중을 위험 요소로 여겨 민주주의를 비판적으로 바라보았다. 그리고 어떻게 대중의 권력을 제한할 것인지를 고민했다. 그리고 그 해답으로 ‘강한 국가’의 필요성이 등장한다. 여기서 강한 국가는 대중의 요구를 차단할 수 있는 초월적 국가를 의미한다. 따라서 독재나 국가 폭력과 같은 수단도 때로는 정당화될 수 있으며, 시장 질서를 수호하기 위해 사법(私法, droit)을 헌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서슴지 않는다.




신자유주의는 우리의 인식대로 자유시장경제를 신봉하는 데 그치지 않고, 내부의 적(敵)을 규정하여 사회 내부의 계층 간 전쟁을 종용한다. 가령 2019년 프랑스에서는 ‘노란 조끼 운동’이라는 임금 인상과 간접세 인하 등 평등에 대한 요구를 무자비한 탄압으로 응했고, 언론과 정치권은은 이들에 대한 비방과 낙인 찍기를 통해 대중에게 공포심을 조장했다. 이는 비단 프랑스뿐만이 아닌 전 세계에서 관찰되고 있는 현상이다.




현대의 신자유주의는 일부 엘리트 계층이 적과 싸우는 데서 나아가 대중의 일부가 자신의 이익을 위해 싸우는 갈등의 장으로 뻗어나갔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도 이러한 현상이 쉽게 관찰되고 있다. 가령 세대 갈등이라던가 성별 간의 혐오, 좌우 진영의 대립, 능력주의의 맹신 등이 있다. 이러한 갈등의 주체들이 서로의 이해 관계를 수용하고 조정함으로써 내전은 평화롭게 마무리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그러한 갈등을 조장하는 주체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신자유주의라는 개념에 익숙지 않다면 매우매우 어려운 책이다. 동의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었지만 내가 이 책을 제대로 이해했다고는 생각지도 않고, 아마도 잘못 이해하고 서술한 부분도 있을 것이다. 그래도 이 책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조금은 와 닿았다.




“낡은 것은 갔는데 왜 새것은 오지 않는가?”




의미심장한 말이다. 신자유주의는 종식된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 인류를 일정한 방향으로 조종해 왔고, 그 과정은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다는 의미이다. 과연 이 시대의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저자들이 이 두꺼운 책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바는 바로 그것이다. 진정한 민주주의를 가로막는 장애물에 대한 대항, 좀 더 그럴싸하게 말하자면 ‘혁명’이다.




22대 총선을 얼마 남기지 않은 지금, 우리는 뉴스를 통해 다양한 편 가르기를 목도하고 있다. 의대 정원 확대에 대한 반발로 의료 서비스에 차질이 생긴 지금도, 여야를 막론하고 정치권은 표를 모으기 위해 서로를 헐뜯는 데 혈안이 되어 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작게는 우리가 가진 소중한 권리 행사로, 크게는 지배층의 엉큼한 속내를 깨닫고 휘둘리지 않는 것으로 대항할 수 있을 것이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 접기
김대승 2024-03-19 공감(2) 댓글(0)
Thanks to
공감


더보기




마이페이퍼
전체 (1)
페이퍼 쓰기
좋아요순



내용은 못 봤지만 일단 제목부터 뜨악했는데, rule...

내용은 못 봤지만 일단 제목부터 뜨악했는데, rule by law는 rule of law와 구별되는 개념으로, ‘법치‘로 옮긴 것은 오역으로 보입니다. 책에 이러한 개념 구분이 따로 설명되어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묵향 2024-03-01 공감 (19) 댓글 (0)
Thanks to
공감
찜하기

No comments:

Post a Comment

알라딘: 역사유비로서의 개벽신학 空·公·共

알라딘: 역사유비로서의 개벽신학 空·公·共 역사유비로서의 개벽신학 空·公·共  이정배 (지은이) 신앙과지성사 2024-11-05 미리보기 피너츠 고블릿.친환경 노트 (택1, 대상도서 1권 포함 종교 분야 2만 원 이상) 정가 39,000원 판매가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