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day, June 5, 2022

Eunhee Kim | 복지천국 스웨덴과 한국의 소득불평등

 Eunhee Kim | Facebook

===

복지천국 스웨덴
무상의료제도 갖추고 있지만 의료 접근성이 낮다고 한다. 의사를 만나려면 많이 기다려야 한다는 것이다. 대기없이 병원에 가고싶은 사람은 값비싼 민간보험에 가입해 보험회사와 연계된 민간 병원에 간다.
흥미로운 건 우리나라 상위 10% 소득자의 세 부담율이 스웨덴의 상위 10%보다 훨씬 높다는 것이다. 스웨덴은 전체 소득세의 27%이고 한국은 상위 10%가 전체 소득세의 70%를 부담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 소득세 면제받는 저소득층의 비율이 훨씬 높다. 스웨덴은 면제자가 전체의 6.6%이고 한국은 전체 소득자의 40%다.
빈부격차에 있어 스웨덴은 소득 격차는 적으나 자산 격차는 세계에서 3위에 이른다. 놀랍다. 상위 10%가 전체 자산의 75.3%를 차지하고 상위 1%가 37.4%를 차지한다. 미국의 경우 상위 1%가 전체 자산의 35.4% 차지한다. 미국보다도 빈부격차가 심하다.
(한국 통계는 기사에 안나옴)
박정미, 李宇衍 and 310 others
36 comments
32 shares
Like
Comment
Share

36 comments

Most relevant



  • Hoan Sang Chung
    한국은 삼성등 대기업들이 내는 법인세등이 중요한 세원...이 돈을 가지고 사회복지등 실현...
    이 복지혜택을 받는 것들이 은혜는 망각하고 기업 타도에 앞장 섬...
    4
  • In-Gee Kim
    심지어 친구집에 놀러가도 자기네 끼리만 먹고 밥도 안주죠.
    4
  • 이천림
    덴마크 특히 코펜하겐에서는 스웨덴 사람을 약간 모자라는 사람들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지금도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스웨덴에서 술을 맘대로 살 수 없어서... 훼리를 타고 코펜하겐에 와서 술이 떡이 되도록 마신다고... 그래서 코펜하겐에선 술취해 돌아다니는 사람을 보면... 스웨덴 사람일거라는 농담을 한다.
    7

  • Jae Ahn
    의료 시스템은 노르웨이도 마찬가지입니다. 겉보기는 좋아보이는데 들여다보면 그다지 이상적인 시스템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8
    • Eunhee Kim
      안재형 네, 영국도 비슷한 상황인 것 같아요. 민간 보험을 들든지 몇 달 씩 기다리든지...
      5
  • 김관기
    소득세가 높으면 흙수저에서 부자로 올라서기 힘들지요. 벌어서 잘 살게 될 수 있다는 가정이 무너져 버립니다.
    4
  • 한찬욱
    중요한 건 소득이죠 자산에서 소득이 안 생긴다면 그 자산은 단지 소비재죠 근데 한구기가 소득 불평등에서 세계 유수 국가입니다 미구기와 영구기와 거의 동급이네요 소득 격차가 크니 상위 10%가 소득세로 내는 비중이 큰 겁니다
    May be an image of text that says "ncome inequality Gini coefficient, Show: complete equality; Chart complete inequality, 2020 laeav Table 0.6 0.5 çfullscreen Source: Income distribution share download 平 My pinboard 0.4 0.3 0.2 01 0.0"
    4
    • Brad Bon-Hyun Koo
      부유층에 적용되는 최고 세율이 52%인데, 이를 적용하는 기준이 평균 연봉의 1.5배 수준이다. 대략 연봉이 6800만원이 넘으면 연 수십억을 버는 사람과 똑같은 최고 세율이 적용된다.
      통계의 마법 결론: 소득 격차가 적고 평균적으로 임금이 높아서 세금 부담율이 높다.
      한국 소득세 면제구간 2500만원 내외 아닐까요?
      2
    • Eunhee Kim
      한찬욱 그렇지 않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 Eunhee Kim
      한국의 지니계수는 2018년에 0.345로 네덜란드, 스웨덴보다 높으나 독일, 일본, 프랑스, 영국, 캐나다, 이탈리아, 미국 등 대부분 서구 선진국들보다 낮습니다(평등하다는 뜻).
    • Brad Bon-Hyun Koo
      출처가 어디죠? 국가통계포털에 들어가보면 이렇습니다. 2018년기준 19위, 2017년 기준으로는 27위랍니다.
      지니계수 함정은 소득이 없는 경우 산정에서 아예 제외되고 한국은 10% 정도 그렇기 때문이라고도 하죠.
      한국인이 특별히 불만투성이는 아닐 겁니다.
      주재원들이 독일(북유럽 포함)은 재미없는 천국, 한국은 재미있는 지옥이라고들 했죠. 과도한 단순 비교이기도 하지만 한국의 갈등 구조가 악화되는 측면이 있어 근래도 통용되는지 모르겠습니다.
      특히 북유럽은 한국인 성정 및 체질상 생활하기에 부적당합니다. 겨울에 해가 짧아 너무 음울합니다.
      No photo description available.
  • Younsook Kim
    이런 사실을 알지도 못하고........
    2
  • Youngsang Ahn
    사람 사는 것...다 비슷...
  • Mo Mori
    사다리가 뽀개진 신분 사회죠.
  • 장시정
    스웨덴 재벌기업 총수가 국왕주재 회의에 총리와 함께 참석합니다. 만약 우리나라에서 그런 일이 벌어진다면? ㅎ
    5
    • Eunhee Kim
      장시정 우리나라는 부자에 대한 반감이 엄청난데 부의 축적에 대한 유교적 인식이 아직도 강하게 남아있기 때문이라고 보입니다.
      5
    • 창조
      Eunhee Kim 양반이야말로 부유층이 아니었던지요?
      3
    View 3 more replies
  • Byungtae Lee 
    Follow
    한국의 자산 격차는 OECD 국가중 아주 낮은 축에 속합니다
    6
  • 박석완
    발렌베리가 5대째 이어져오고 있고 또 스웨덴은 상속세가 없다고 들었는데 정알 의외입니다.
    3
  • Seong-Soo Ahn
    선동에 의해 빈부 격차가 심하게 과장되었죠.
    3
    • Eunhee Kim
      라이언 네, 그런 측면이 있는데 좀 더 근본적으로는 빈부격차를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하는 조선후기 양반문화의 영향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 Like
      • Reply
      • 9 h
      • Edited
  • Brad Bon-Hyun Koo
    소득불평등을 나타내는 지니계수 기준으로 2017년 한국은 26위입니다. 또한 지니계수 통계에 대한 비판이 굉장히 많죠.
    No photo description available.
    • Eunhee Kim
      구본현 해마다 약간씩 바뀌는 것 같아요. 지니계수에 대한 비판도 있을 수 있는데 대략 우리나라 소득격차가 그렇게 심한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 Brad Bon-Hyun Koo
      지니계수 나무위키 읽어보면 최고 비판 수위가 높은 의견 이렇습니다. 소득 평등 관련 자산을 포함하면 더더욱상대적이라 뭐라 언급하기 쉽지 않습니다. 다만 한국이 5천년 역사상 처음 팍스코리아나 시절로 접어 들었다는 생각은 듭니다.
      '김낙년 교수는 논문에서 한국의 실제 지니계수가 0.415에 달하며, 기존 통계청의 지니계수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김 교수는 논문에서 그 원인으로 상위 0.1% 등의 최상위 소득자의 누락,[16] 금융… 
      See more
  • 김후곤
    정치인들 거짓말만 아니면 한국이 천국인것 같아요 119 112 전화 한통이면 모두가 해결되요 ㅎ


===
‘복지 천국’ 스웨덴 3년 살아보니… 
“완벽한 지상낙원은 없더라”

[아무튼, 주말] ‘행복한 나라의 불행한 사람들’
출간한 회사원 박지우씨
배준용 기자
입력 2022.04.30 


‘복지 천국’, ‘지상낙원’. 한국 사회가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등 북유럽 국가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회사원 박지우(42)씨도 낭만적인 이 말에 끌려 2014년 스웨덴으로 향했다. “당시 국내 언론과 방송에 나온 북유럽은 정말 혹할 정도로 멋지더라고요. 마침 회사에서 스웨덴 지사에 발령 낼 사람을 찾기에 곧바로 지원했죠.”

3년간 스웨덴에서 살다 귀국한 박씨는 평범한 회사원으로 살며 틈틈이 스웨덴에서 보고 듣고 겪은 것들을 차곡차곡 글로 정리했고, 올해 초 책으로 펴냈다. 제목은 ‘행복한 나라의 불행한 사람들’. 박씨는 “완벽한 지상낙원은 없더라. 언론과 방송을 통해 접한 스웨덴과 실제로 제가 겪고 살펴본 스웨덴은 많이 달랐다”고 했다.

2014년부터 3년간 스웨덴에서 산 박지우씨는 “내가 실제로 겪은 스웨덴은 언론에서 접한 것과 달랐다”고 했다. /양수열 영상미디어 기자

-책 제목대로라면 스웨덴 사람들은 불행하다는 건가?

“아니다. 스웨덴 국민에겐 스웨덴이 행복한 나라일 수 있다. 이 책은 철저히 한국인의 시각으로 스웨덴 사회를 바라본 것이다. 한국인에게 스웨덴 같은 나라는 불행한 나라가 될 수 있다는 걸 말하고 싶었다. 더불어 스웨덴 같은 복지 국가에도 불행하고 가난한 사람이 분명히 있다는 걸 강조하고 싶었다.”

-스웨덴에 가난한 사람들이 있다니 상상이 안 된다.

“수도인 스톡홀름 거리에 놓인 쓰레기통을 뒤지며 공병을 모으는 노인들을 보고 충격받았다. 젊은 시절 일자리를 갖지 못해 나라에서 지급하는 월 100만원 정도의 기초연금으로 생활하는 분들이다. 세금 떼고 높은 주거비를 제하면 생활비가 부족해 공병을 팔아 근근이 살아간다. 한국 언론과 방송에서는 전혀 듣지도, 보지도 못했던 모습이다.”

-스웨덴 고령층은 풍족한 연금으로 풍요로운 노후를 누리지 않나.

“분명히 한국보다 노인 빈곤율이 낮고 연금을 많이 받는다. 하지만 세율이 높고 물가와 주거비가 비싸기 때문에 실제 생활이 그렇게 여유롭지는 않다.”

-스웨덴의 무상 의료에 대해 비판적이던데.

“한국은 과잉 진료가 문제일 수 있지만, 스웨덴은 무상 의료라 정부가 의료 수요를 가능한 한 제한하려는 경향이 다분히 강하다. 스웨덴 국민 한 사람이 1년에 부담하는 병원비 상한액은 최고 15만원, 약값은 연 30만원이다. 그 이상을 넘어가면 아무리 중병이라도 치료비를 전부 정부가 부담한다. 하지만 의사를 만나려면 상담원을 통해야 하고 가벼운 질환으로는 예약을 받아주지 않는다. 예약에 성공해도 의사를 만나려면 최소 3일에서 길면 한 달 넘게 기다려야 한다. 그래서 스웨덴 사람들은 아파도 바로 병원에 가지 못하고 집에서 쉬는 게 보통이다. 보통 1년에 의사를 만나는 횟수가 2~3번에 그칠 정도로 의료 접근성이 낮기 때문에 대부분이 연 병원비 상한액을 채우지 못할 정도로 의료 서비스를 적게 받는다. 대기 없이 병원에 가고 싶은 사람은 값비싼 민간 보험에 가입해 보험회사와 연계된 민간 병원에 간다.”

(위) 흔히 ‘복지 천국’으로 알려진 스웨덴. 그러나 박지우씨가 바라본 이곳은 달랐다. 병원에서 CT 촬영하는 게 자랑할 정도로 희귀한 일이고, 산모 대부분은 출산 기간 내내 의사를 거의 보지 못하고 간호사의 처치와 상담만 받고 아이를 낳는다. (아래) 스웨덴 학교의 수업 모습. 대학교까지 무상 교육이 이뤄지는 스웨덴에서는 전통적으로 평등주의 문화가 강하다. /스웨덴 정부 홈페이지

-진료·치료 방법도 제한된 건가.

“스웨덴에서는 병원에서 CT 촬영을 하는 게 친구 사이에서 자랑할 정도로 희귀한 일이다. 스웨덴 산모 대부분이 출산 기간 내내 의사를 거의 보지 못하고 간호사의 처치와 상담만 받고 아이를 낳는다. 입원도 오래할 수 없다. 의료 인력과 병상이 부족해 자궁 적출 수술 같은 큰 수술을 받아도 1~2일 만에 퇴원해 집에서 요양해야 하는 게 현실이다. 스웨덴 친구가 손가락이 베여 출혈이 심해 응급실에 갔는데 수 시간을 기다려도 치료해주지 않아 항의했더니 ‘그 정도로 죽지는 않는다’고 답했다더라(웃음).”

-대학교까지 이뤄지는 무상교육도 한국인에겐 부러움의 대상이다.

“단점도 없지 않다. 스웨덴을 비롯한 북유럽은 전통적으로 평등주의 문화가 강하다. 누가 뛰어난 재능을 보이면 칭찬하고 독려하는 게 아니라 ‘너도 남들과 크게 다르지 않으니 겸손하라’고 가르친다. 누구를 칭찬했을 때의 이점보다 그 칭찬을 듣는 다른 사람이 느낄 상대적 박탈감을 더 중시하는 분위기다. 교육 시스템도 실력이 뛰어난 아이들을 더 키우는 게 아니라 뒤로 처지는 아이들이 평균 수준에 따라오도록 하는 데 방점이 찍혀있다. 이런 방식이 한국의 뜨거운 교육열과 조화를 이룰 수 있을까?”

-한국에선 북유럽을 예로 들며 부자 증세를 주장한 경우가 적지 않았는데.

“스웨덴은 오히려 사회민주주의와 고(高)복지를 유지하기 위해 친기업·친부유층 정책을 펼치고 있다. 부유층에 적용되는 최고 세율이 52%인데, 이를 적용하는 기준이 평균 연봉의 1.5배 수준이다. 대략 연봉이 6800만원이 넘으면 연 수십억을 버는 사람과 똑같은 최고 세율이 적용된다. 한국은 연소득이 10억원을 넘어야 최고세율 구간에 들어가고, 최고 세율이 49.5%다. 상대적으로 보면 한국의 부유층이 세금 부담이 더 크고, 최고 세율만 봐도 스웨덴과 한국의 차이가 크지 않다. 1983년까지 70%에 이르던 상속세와 증여세는 2004년에 폐지됐다. 따져보면 부자 증세는 스웨덴보다 한국이 더 가깝다.”


-왜 그렇게 된 건가?

“부자에게 세금을 많이 부과하니 많은 부유층과 기업들이 해외로 이전했다. 그러니 양질의 일자리가 사라지고 그만큼 세수도 줄어 고복지를 유지하기 어려워졌다. 결국 스웨덴 정부는 국내의 기업 활동을 유지하기 위해 법인세를 낮추고 상속세도 폐지했다. 가족 내 경영권·재산 상속을 완전히 인정해준 셈이다. 그렇게라도 기업이 국내에 있어야 일자리와 고용이 유지되고 중산층이 막대한 세금을 내 복지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식의 사회적 대타협이 이뤄진 것이다.”

-결국 중산층이 내는 세금이 고복지의 핵심 재원이라는 건가.

“스웨덴 상위 10% 소득자가 스웨덴 전체 소득세에서 부담하는 비중은 27%인 반면 우리나라는 상위 10%가 전체 소득세의 70%를 부담한다. 저소득층의 세금 부담도 스웨덴이 훨씬 크다. 한국에서는 소득세를 면제받는 비율이 40%에 가깝지만, 스웨덴은 소득세를 면제받는 국민이 6.6%에 불과하다. 중산층과 저소득층이 세금을 많이 내고 그만큼 혜택을 받는 게 스웨덴식 복지인데, 한국에서는 이런 시스템에 반대할 사람이 적지 않을 것이다.”

-평등주의 속에 불평등이 숨어 있다는 뜻일까.

“통계로 보면 스웨덴은 소득 격차가 매우 적다. 이건 조세나 복지 때문이 아니라 역사적·문화적으로 임금 격차가 적기 때문이다. 대졸자가 고졸자보다 소득이 22% 정도 더 높은데 OECD 평균인 57% 차이보다 훨씬 낮다. 그런데 자산을 보면 빈부 격차가 심각한 곳이 스웨덴이다. 스웨덴은 상위 10%가 전체 자산의 75.3%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상위 1% 부자가 스웨덴 전체 자산의 37.4%를 차지하는데 이는 미국 1% 부자가 35.4%를 차지한 것보다 더 크다. 자산으로만 보면 스웨덴은 세계에서 셋째로 불평등한 나라다.”

-그래서 스웨덴에서 도박이 유행하는 건가.

“스웨덴은 온라인 베팅 카지노를 허용하는 등 도박 규제가 약한 편이다. TV를 켜면 도박 광고가 많이 나온다. 대부분 ‘한방으로 인생 역전을 하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수퍼마켓에 가면 도박 상품이나 마권을 사려고 길게 줄을 선다. 자산 불평등에서 기인한 현상이라고 본다.”

-양극화 문제를 풀려면 복지를 더 늘려야 한다는데.

“제가 보기엔 복지는 양극화를 없애는 기능이 거의 없다. 의료보험은 아픈 사람이 건강한 사람의 돈을 가지고 가는 셈이고 국민연금도 금방 죽는 사람이 장수하는 사람한테 자기 돈을 나눠주는 것이다. 이렇게 보면 복지는 모두에게 최소한의 삶의 안정성을 부여하면서 각자 가진 리스크를 대비하는 수단이지 부자의 돈을 가난한 사람한테 나눠주는 재분배 기능은 크지 않다. 스웨덴만 보더라도 소득 불평등이 적지만 자산 불평등이 크지 않나. 결국 양극화를 없애려면 가능한 한 기업 활동을 많이 유치해 경제 성장과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 내는 게 가장 효과적이라고 본다.”

-너무 우파적인 결론 아닌가?

“답이 우파적이라는 건 인정하지만, 정치 성향 때문에 그런 건 절대 아니다(웃음). 스웨덴에서 겪고 본 것을 공부하다 보니 자연스레 그런 생각을 갖게 됐다. 분명한 건 사회민주주의 체제라고 해서, 고복지 체제라고 해서 빈부 격차가 없다거나 적다는 건 사실이 아니라는 것이다.”

-결국 스웨덴과 한국의 차이는 문화적 차이에서 비롯되는 걸까.

“한국에는 ‘스스로 노력한 만큼 보상을 받고 능력이 있으면 계층도 상승할 수 있는 사회가 더 정의롭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스웨덴을 겪어보니 한국도 스웨덴만큼 장점도 많고 긍정할 부분이 많은 나라라는 생각이 들었다.”



배준용 기자

주말뉴스부 기자.


=
==
바로 전의 게시글 "복지천국 스웨덴"에 달린 댓글 중에 한국의 소득불평등이 세계적으로 높다는 주장이 있어서 한 번 검색해보니 오히려 세계적으로 낮은 편이라는 2020년도 기사가 있어 아래에 인용합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소득분배 불평등 지수인 지니계수에서 한국은 동아시아에서 작고 가난한 동티모르 다음으로 가장 평등주의적인 사회라고 세계은행의 통계치를 인용해 블룸버그는 보도했다.
한국의 지니계수는 0.345(2018년)로 네덜란드, 스웨덴보다 높으나 독일, 일본, 프랑스, 영국, 캐나다, 이탈리아 등 대부분의 서구 국가보다는 낮다.
아울러 한국은 상위 1%와 20%의 소득과 하위 20%의 격차에서도 다른 국가보다 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상위 1%의 소득은 전체 소득의 약 20%를 차지해 브라질의 28%에 육박했다. 반면 한국 상위 1%의 소득 비중은 12.2%로 서유럽 국가와 비슷한 수준이다.
한국의 상위 20% 소득은 하위 20%의 5.3배로 일본, 영국, 호주, 이탈리아보다 낮으며 프랑스, 독일과 비슷했다. 반면 미국은 9.4배이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28배다. "
“불평등 고정관념 불구, 한국 소득 불평등 지수, 전세계 가장 낮은 수준”
ASIATODAY.CO.KR
“불평등 고정관념 불구, 한국 소득 불평등 지수, 전세계 가장 낮은 수준”
불평등 사회라는 고정관념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소득 불평등 지수는 아시아에서 가장 낮고, 유럽 선진국과 비슷하거나 낮다고 미국 블룸버그통신이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블룸버그는 “골든 글로브상을 수상한 봉준호 감독....
Hyuk Bom Kwon and 126 others
16 comments
13 shares
Like
Comment
Share

16 comments

Most relevant

  • 여유
    브라질 뭐..
    빈민가 특수부대가 마약단속하던데요.
    경찰이 들어오면 로켓포 쏜다고..
    그에 비하면 한국은 순한맛있건지..
  • Jae Ahn
    한국은 ‘남들은 나보다 잘나면 안되는데 나는 남들보다 대접을 받아야 한다’는 신념(?)이 지배하고 있어서 팩트를 가지고 설명하면 싸움만 납니다.
  • Brad Bon-Hyun Koo
    기자들의 기본 정보 스크린이 전혀 안되고 있습니다. 기레기 소리 나옵니다. 2017년 기준 국가통계포털 자료는 한국 26위입니다. 2018년 기준은 23위인데 유럽국가들 통계 누락이 있어 대동소이합니다.
    No photo description available.
    • Eunhee Kim
      구본현 불름버그가 세계은행의 통계치를 인용하고 있다고 기사는 전하고 있네요. 물론 세계은행의 통계치라는 것도 어느 정도 정확한가, 각 나라가 어떻게 소득 격차를 측정했는가에 대해 아무런 정보가 없어 절대적으로 신뢰하기는 어렵지만 참고할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적어도 불평등한 정도가 세계적으로 높다고는 말하기 힘들 것 같습니다. 이 기사를 게시한 것은 한국의 소득불평등이 세계적으로 높다는 주장을 반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자, 이제 정반대되는 두… 
      See more
      • Like
      • Reply
      • 8 h
      • Edited
    • Brad Bon-Hyun Koo
      세계은행 통계는 유료로 확인 가능한데... 상위 하위 10개국씩은 확인되고, 그러나 최소한 크로스 체크는 해야 합니다. 국가통계포털도 근거가 있을 겁니다.
  • Younghwa Hyun
    대기업, 공기업들에 비해서 중소기업의 임금격차가 큰 것은 사실 아닌가요? ^^;
    View 1 more reply
  • 이 주환
    격차를 인정 못하면 다같이 못사는 부탄 이던지 부칸에 가서 살아야 하지 않나 생각합니다..그격차가 자기 발전 하고자 하는 동기 인데 말입니다.. 격차가 없으면 누가 자기 개발을 하겠습니까?
    • Like
    • Reply
    • 8 h
    • Edited
  • Bum Choi
    체감적으로 볼 때 한국의 빈부격차는 아주 심한 편은 아닙니다
    • Eunhee Kim
      Bum Choi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 남미, 중국, 러시아, 동남아, 중동, 인도, 홍콩, 싱가포르 모두 지니계수가 한국보다 현저히 높게 (소득불평등이 심하게) 나와요.
  • J-c Choi
    주관적인거니까요 !
    얼어죽지앓고… 
    See more
  • In-Gee Kim
    한국이 미국의 힘으로 성장하긴 했는데, 헌법부터 시작해서 법률 곳곳에 서유럽식 제도가 많이 숨어있습니다. 이 법제화 과정에서 사회주의적 요소가 많이 들어왔죠.
  • Siyang Yu
    취재를 하다가.. 조사를 하다가
    나름 최선을 다했는데..는
    이해해주어야 하고 여기 기자나 학자는 바로 수긍하거나 고치거나..… 
    See more
  • Sung Hoon Lee
    현재 지니 계수 통계 관련 논의들은 지나치게 국내 정치 편향적입니다. 국제 기준에 맞춘 제대로 된 통계로 나아가고 있기를 바랍니다. https://www.google.com/.../www.../economy/amp/2021060692351
    통계 손대니…OECD 평균보다 갑자기 좋아진 韓 분배지표
    HANKYUNG.COM
    통계 손대니…OECD 평균보다 갑자기 좋아진 韓 분배지표
    통계 손대니…OECD 평균보다 갑자기 좋아진 韓 분배지표

==

“불평등 고정관념 불구, 한국 소득 불평등 지수, 전세계 가장 낮은 수준”
기사승인 2020. 01. 13.

블룸버그, '기생충' 묘사 한국의 불평등 이미지, 고정관념
"한, 고속성장 경제 현상 불평등, 잘 피해"
"지니계수·소득 격차, 가장 낮은 수준"
"한국인, 불평등 우려...미래 불안, 노인·청년·여성 불평등 때문"



불평등 사회라는 고정관념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소득 불평등 지수는 아시아에서 가장 낮고, 유럽 선진국과 비슷하거나 낮다고 미국 블룸버그통신이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사진은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 공식 포스터.

불평등 사회라는 고정관념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소득 불평등 지수는 아시아에서 가장 낮고, 유럽 선진국과 비슷하거나 낮다고 미국 블룸버그통신이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골든 글로브상을 수상한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은 나라의 부(富) 분배로 인해 메스꺼워질 정도의 상황에 처한 서울의 세 가족의 초상화”라며 한국을 불평등이 가장 심한 브라질이나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아시아판으로 그렸다고 설명했다.


이는 강렬한 시각 자료이며 최근 수십년 동안 한국의 문화와 산업을 국제화한 한류와 깔끔하게 부합하고, 극심하게 불평등한 사회는 삼성그룹이나 현대그룹과 같은 과점 재벌과 한국 TV 드라마에 매우 많이 나오는 매력적인 부자 남자의 본고장처럼 느껴진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소득분배 불평등 지수인 지니계수에서 한국은 동아시아에서 작고 가난한 동티모르 다음으로 가장 평등주의적인 사회라고 세계은행(WB)의 통계치를 인용해 블룸버그는 보도했다.

한국의 지니계수는 0.345(2018년)로 네덜란드·스웨덴보다 높으나 독일·일본·프랑스·영국·캐나다·이탈리아·미국 등 대부분 서구 선진국보다는 낮다.

아울러 한국은 상위 1%와 20%의 소득과 하위 20%의 격차에서도 다른 국가보다 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상위 1%의 소득은 전체 소득의 약 20%를 차지해 브라질의 28%에 육박했다. 반면 한국 상위 1%의 소득 비중은 12.2%로 서유럽 국가와 비슷한 수준이다.

한국의 상위 20% 소득은 하위 20%의 5.3배로 일본·영국·호주·이탈리아보다 낮으며 프랑스·독일과 비슷했다. 반면 미국은 9.4배이며 남아프리카공화국은 28배다.

블룸버그는 ‘한국인들은 이 같은 현실에도 불구하고 왜 그렇게 불평등에 대해 우려하고 있는가’라고 자문하면서 지난달 실시된 조사에 따르면 35세 이하의 4분의 3이, 35~60세의 3분의 2가 한국을 떠나고 싶어 하며 전체 인구의 비슷한 비율이 한국을 ‘헬(지옥)’이라고 여긴다고 전했다.

통신은 이 조사 결과의 이유로 한국이 고도성장으로 가난에서 부유한 나라가 된 현재보다 미래에 불안을 느끼고, 노인·청년·여성들의 불평등이 심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블룸버그는 “하나의 문제는 우리가 어디에 있는지가 아닌 어디에서 왔는지, 어디로 가는지에 따라 만족도를 측정한다는 것”이라며 “한국은 한 세대 동안 가난에서 부유해졌지만 성장은 점점 서서히 멈추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전했다.

이어 “이는 많은 사람이 앞으로 다가올 일을 무서워하게 한다”며 특히 세계 최저 출산율로 점점 증가하는 은퇴자 인구를 부양해야 하는 노동자가 감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통신은 “전체 인구에 대한 괜찮은 불평등 지표와 대조적으로 특히 노인들이 손해를 보고 있다”며 “한국 경제활동 인구의 13%만이 가난하게 살고 있지만 66세 이상 경제활동 인구의 빈곤율은 44%로 그 어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보다 훨씬 높다”고 지적했다.

또한 블룸버그는 “청년들은 자신의 집을 구매할 희망을 대부분 포기했다”며 서울에서 집을 구매하는 데 약 13.4년이 소요되는데 이는 미국 뉴욕의 5.7년, 일본 도쿄(東京)의 4.8년보다 길다고 전했다.

블룸버그는 한국은 다른 경제적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청년·노인, 그리고 여성들이 고통받는 불평등이 한국을 후퇴시킬 위험이 가장 크다고 지적했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hegel@asiatoday.co.kr

===


===


===

No comments:

Post a Comment

알라딘: 역사유비로서의 개벽신학 空·公·共

알라딘: 역사유비로서의 개벽신학 空·公·共 역사유비로서의 개벽신학 空·公·共  이정배 (지은이) 신앙과지성사 2024-11-05 미리보기 피너츠 고블릿.친환경 노트 (택1, 대상도서 1권 포함 종교 분야 2만 원 이상) 정가 39,000원 판매가 3...